본문 바로가기
2007.12.20 05:02

개구지다

조회 수 851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구지다

심하게 장난을 하는 아이를 일컬어 ‘장난꾸러기’ 또는 ‘개구쟁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난꾸러기’나 ‘개구쟁이’가 하는 행동을 두고 ‘짓궂다’란 표현을 쓴다. 전라남도에서는 ‘제양시롭다’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짓궂다’는 말은 없고 ‘장난궂다’라고 한다. ‘짓궂다’나 ‘장난궂다’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면서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이 있다.

“씨름이며 닭싸움이며를 하느라 한참 동안 개구지게 놀고 난 아이들이 비녀봉으로 칡이나 캐러 갈까 하고 둑을 내려설라치면 ….”(이서하 〈서점 앞에서〉)
“아이보다 천진난만하고 개구진 목소리로 이 노래를 불렀던 ○○○씨가 또 한편의 애니메이션 주제곡에 도전한다.”(〈씨네21〉)
“그러곤 개구진 미소를 짓다가 인찬의 굳은 표정을 본다.”(최진원 외 〈해바라기 5회〉)

‘개구지다’에서 ‘개구’는 문장에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어근’이다. ‘개구쟁이’에서의 ‘개구’와 같은 뜻으로, ‘장난이 심하고 짓궂음’의 뜻을 나타낸다. 뒤에 붙은 ‘지다’는 ‘값지다’, ‘멋지다’의 ‘지다’처럼 ‘그런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면서 앞에 오는 어근이나 명사를 형용사로 만드는 뒷가지(접미사)다. 따라서 ‘개구지다’는 ‘장난이 심하고 짓궂은 성질(경향)이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러한 뜻의 ‘개구’가 포함된 북한말로 ‘개구장마누라’가 있는데, ‘입이 걸고 행실이 못된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12
3392 매무시 風磬 2006.11.26 7927
3391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119
3390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147
3389 무꾸리 風磬 2006.11.26 8032
3388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358
3387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522
3386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568
3385 (밤)참 風磬 2006.11.30 6201
3384 벽창호 風磬 2006.11.30 6053
3383 볼멘소리 風磬 2006.12.20 7029
3382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176
3381 부럼 風磬 2006.12.20 7142
338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452
3379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564
3378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562
3377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560
3376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7968
3375 불호령 風磬 2006.12.23 8862
3374 비지땀 風磬 2006.12.23 7287
3373 빈대떡 風磬 2006.12.23 7748
3372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029
3371 사또 風磬 2006.12.26 70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