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5

옮김과 뒤침

조회 수 807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옮김과 뒤침

남의 글을 우리말로 바꾸는 일을 요즘 흔히 ‘옮김’이라 한다. 조선 시대에는 ‘언해’ 또는 ‘번역’이라 했다. 아직도 ‘번역’ 또는 ‘역’이라 적는 사람이 있는데, 일본 사람들이 그렇게 쓰니까 본뜨는 것이 아닌가 싶다.

‘언해’든 ‘번역’이든 ‘역’이든 이것들은 모두 우리말이 아니지만 ‘옮김’은 우리말이라 훨씬 낫다고 본다. 그러나 ‘옮김’은 무엇을 있는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자리바꿈하는 것이다. 거기서 ‘발걸음을 옮기다’, ‘직장을 옮기다’, ‘말을 옮기다’, ‘모종을 옮기다’, ‘눈길을 옮기다’, ‘실천에 옮기다’ 같은 데로 뜻이 넓혀지지만 언제나 무엇을 ‘있는 그대로’ 자리바꿈하는 뜻으로만 써야 한다.

남의 글을 우리말로 바꾸는 것을 우리는 ‘뒤침’이라 했다. 글말로는 ‘언해·번역’이라 썼지만 입말로는 ‘뒤침’이었다고 본다. ‘뒤치다’를 국어사전에는 “자빠진 것을 엎어놓거나, 엎어진 것을 젖혀놓다” 했으나 그것은 본디 뜻이고, 그런 본디 뜻에서 “하나의 말을 또 다른 말로 바꾸어놓는 것”으로 넓혀졌다. 어릴 적에 나는 서당 선생님이 “어디 한 번 읽어 봐” 하시고, 또 “그럼 어디 뒤쳐 봐” 하시는 말씀을 늘 들었다. ‘뒤쳐 보라’는 말씀은 가끔 ‘새겨 보라’고도 하셨는데, ‘새기라’는 말씀은 속살을 알아들을 만하게 풀이하라는 쪽으로 기울어져 ‘뒤치라’는 것과 조금은 뜻이 달랐다. 어린 시절 나는 ‘읽다’와 더불어 ‘뒤치다’, ‘새기다’, ‘풀이하다’ 같은 낱말을 서로 다른 뜻으로 쓰면서 자랐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00
3392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71
3391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975
3390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982
3389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990
3388 내색 風文 2023.11.24 1001
3387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003
3386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004
338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006
3384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009
3383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013
338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1014
3381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020
3380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021
3379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027
3378 뒷담화 風文 2020.05.03 1029
3377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030
3376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032
3375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風文 2022.10.07 1033
3374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034
337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36
3372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038
3371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0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