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5

옮김과 뒤침

조회 수 806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옮김과 뒤침

남의 글을 우리말로 바꾸는 일을 요즘 흔히 ‘옮김’이라 한다. 조선 시대에는 ‘언해’ 또는 ‘번역’이라 했다. 아직도 ‘번역’ 또는 ‘역’이라 적는 사람이 있는데, 일본 사람들이 그렇게 쓰니까 본뜨는 것이 아닌가 싶다.

‘언해’든 ‘번역’이든 ‘역’이든 이것들은 모두 우리말이 아니지만 ‘옮김’은 우리말이라 훨씬 낫다고 본다. 그러나 ‘옮김’은 무엇을 있는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자리바꿈하는 것이다. 거기서 ‘발걸음을 옮기다’, ‘직장을 옮기다’, ‘말을 옮기다’, ‘모종을 옮기다’, ‘눈길을 옮기다’, ‘실천에 옮기다’ 같은 데로 뜻이 넓혀지지만 언제나 무엇을 ‘있는 그대로’ 자리바꿈하는 뜻으로만 써야 한다.

남의 글을 우리말로 바꾸는 것을 우리는 ‘뒤침’이라 했다. 글말로는 ‘언해·번역’이라 썼지만 입말로는 ‘뒤침’이었다고 본다. ‘뒤치다’를 국어사전에는 “자빠진 것을 엎어놓거나, 엎어진 것을 젖혀놓다” 했으나 그것은 본디 뜻이고, 그런 본디 뜻에서 “하나의 말을 또 다른 말로 바꾸어놓는 것”으로 넓혀졌다. 어릴 적에 나는 서당 선생님이 “어디 한 번 읽어 봐” 하시고, 또 “그럼 어디 뒤쳐 봐” 하시는 말씀을 늘 들었다. ‘뒤쳐 보라’는 말씀은 가끔 ‘새겨 보라’고도 하셨는데, ‘새기라’는 말씀은 속살을 알아들을 만하게 풀이하라는 쪽으로 기울어져 ‘뒤치라’는 것과 조금은 뜻이 달랐다. 어린 시절 나는 ‘읽다’와 더불어 ‘뒤치다’, ‘새기다’, ‘풀이하다’ 같은 낱말을 서로 다른 뜻으로 쓰면서 자랐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97
3392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49
3391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291
3390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294
3389 상석 風文 2023.12.05 1113
3388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595
3387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259
3386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09
3385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375
3384 내색 風文 2023.11.24 998
3383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171
3382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064
3381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097
3380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47
3379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05
3378 까치발 風文 2023.11.20 1208
3377 쓰봉 風文 2023.11.16 1099
3376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006
3375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195
3374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22
3373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290
3372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167
3371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2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