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2 05:45

우리와 저희

조회 수 854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와 저희

‘우리’라는 낱말은 ‘나’를 싸잡아 여러 사람을 뜻하는 대이름씨다. 거기 여러 사람에는 ‘듣는 사람’이 싸잡힐 수도 있고 빠질 수도 있다. 이런 대이름씨는 다른 겨레들이 두루 쓰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우리’의 쓰임새가 남다른 것은 매김씨로 쓰일 때다. 매김씨라도 우리 마을, 우리 회사, 우리 어머니, 우리 아기 … 이런 것이면 남다를 것이 없다. 외동도 서슴없이 ‘우리 아버지’ ‘우리 어머니’라 하고, 마침내 ‘우리 아내’ ‘우리 남편’에 이르면 이것이야말로 남다르다. 그래서 그건 잘못 쓴 것이고 틀린 말이라고 하는 사람까지 있다. 그러나 매김씨 ‘우리’는 ‘나’를 싸잡은 여러 사람을 뜻하지도 않고, 듣는 사람을 싸잡지도 않고, 다만 나와 대상이 서로 떨어질 수 없이 하나를 이루는 깊은 사이임을 드러낼 뿐이다. 이것은 이 땅에서 뿌리 깊게 얽혀 살아온 우리 겨레의 자랑스러운 삶에서 빚어진 남다른 쓰임새다.

이런 ‘우리’의 낮춤말이 ‘저희’다. 그런데 ‘저희’를 쓰려면 마음을 써야 한다. 나를 낮추면 저절로 나와 함께 싸잡힌 ‘우리’ 모두가 낮추어지기 때문이다. 일테면, ‘저희 회사’라고 하려면 우선 말하는 사람이 회사에서 가장 손윗사람이라야 한다. 게다가 듣는 사람도 말하는 사람보다 더 손윗사람이라야 한다. 그러니 ‘저희 회사’ 같은 말도 쓸 사람과 쓸 자리가 아주 적다. 요즘 배웠다는 이들이 더러 ‘저희 나라’라고 하는데, 어처구니없는 소리다. 이런 말은 그 누구도, 그 누구에게도 쓸 자리가 없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8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94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740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990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7032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285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626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743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9027
»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546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351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234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834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423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201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878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583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170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121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667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918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289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569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7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