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0 05:29

사투리와 토박이말

조회 수 1007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투리와 토박이말

‘사투리’는 대중말(‘대중’은 ‘눈대중이 매섭다’ 하는 대중, 곧 ‘가늠’을 뜻하는 토박이말)에 맞선다. 우리가 쓰는 말에는 사투리와 대중말이 싸잡혀 있다. 대중말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온 국민이 막힘없이 주고받도록 규정에 맞추어 마련해놓은 말이고, 그 규정에서 벗어나는 우리말은 모두 사투리다. 그것에는 어느 고장에서만 쓰는 사투리도 있고, 어떤 사람이나 모둠에서만 쓰는 사투리도 있다. ‘토박이말’은 들온말(외래어)에 맞선다. 우리가 쓰는 말에는 토박이말과 들온말이 싸잡혀 있다. 우리말에는 중국과 몽골, 일본과 서양에서 들온말이 있거니와 이것들을 뺀 나머지는 토박이말이고 이것이 우리말의 알짜요 노른자위다. ‘토박이말’에는 대중말과 사투리가 있고, ‘사투리’에는 토박이말과 들온말이 있다.

‘사투리’와 ‘토박이말’은 배웠다는 사람들에게서 버림받은 낱말이다. 그들은 굳이 ‘방언/지역어’와 ‘고유어/순수국어’라는 어려운 한자말을 꾸어다 쓴다. 따져보면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살갑고 올바른 낱말이지만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어긋나고 엉성궂은 낱말이다.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우리 겨레의 삶에서 나고 자라 살갑게 우리 품에 안겨들지만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다른 겨레의 삶에서 나고 자라 엉성궂게 우리 품을 밀어낸다.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떳떳하고 자랑스러운 낱말이고,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창피하고 부끄러운 낱말이다.

김수업/우리말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43
26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14
25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879
24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76
23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869
22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55
21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842
20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830
19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21
18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811
17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786
16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82
15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81
14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777
13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71
12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61
11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748
10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719
9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715
8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13
7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649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621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5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