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7 01:04

청소년의 새말

조회 수 11060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소년의 새말

20여 년 전만 해도 유행어를 만들어 내는 이들은 주로 대학생들이었다. ‘바보’(바라볼수록 보고 싶은 사람),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 덩어리) 등의 재미있는 말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유행했다. 인터넷이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잡으면서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들의 나이대가 낮아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졌다. 이들이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유로는, 크게 시간 제약, 공간 제약, 집단의식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빨리 글을 쓰려고 이어 적고(머시따), 줄여 적고(셤), 단어나 음절을 숫자로 대신한다(쪽8리다). 짧은 글에 감정을 나타내고자 자음·모음 등을 교체하고(그리구), 문장부호를 겹쳐 쓰며(!!!), 그림말을 사용한다(^^;). 이런 말들은 또래끼리 소통하는 곁말(은어)로 자리잡았다.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문화가 다른 것이 자연스러운데도 새말이 문제가 되는 것은 소통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이 직접적인 대화보다는 인터넷이나 이동통신을 통한 의사소통을 선호하고, 기성세대는 이들과 대화할 여유가 없으므로 세대 단절이 깊어진 것이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새말 만들기가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기발한 새말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엿볼 수 있다. 무조건 쓰지 말라고 청소년들을 다그칠 것이 아니라 학습 공간, 공적인 장소, 어른과 대화하는 자리에서 바른 말을 쓸 수 있는 분별력을 기르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20
3106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488
3105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597
3104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233
3103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550
310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063
3101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44
3100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0989
3099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90
3098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042
3097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780
3096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648
3095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427
3094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586
3093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099
3092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03
3091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765
3090 단수 정리 바람의종 2007.10.17 16261
»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060
3088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881
3087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03
3086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46
3085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09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