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8 17:02

배레나룻

조회 수 11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배레나룻

얼짱 열풍에 이어 몸짱 열풍이 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탄탄한 몸매를 만드는 데 많은 돈과 시간과 투자하고 있다. 몇몇 남자 연예인들은 자신의 식스팩(?)을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완벽한 몸매를 자랑한다. 이때 ‘배레나룻’도 함께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남성성을 한껏 드러내기도 한다. 그런데 ‘배레나룻’은 아직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새말이다.

‘배레나룻’은 ‘아랫배에 수염처럼 잇따라 길게 난 털’을 가리키기 위해 새로 만들어 낸 말이다.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을 뜻하는 ‘구레나룻’에 유추하여 만든 것이다. ‘구레나룻’은 ‘구레-나룻’처럼 분석되는데, ‘나룻’은 ‘수염’을 뜻하는 말로 그 어원이 분명하지만 ‘구레’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이러한 ‘구레나룻’을 ‘귀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로 이해하여, ‘배 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을 뜻하는 말로서 ‘배레나룻’을 새로 만든 것이다.

그렇지만 ‘배레나룻’의 구체적인 말 만들기 과정은 불명확하다. 우선 ‘배’와 ‘구레나룻’을 합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레나룻’의 ‘구’가 절단된다. 달리 ‘구레나룻’을 ‘구’와 ‘-레나룻’으로 잘못 분석하여, ‘구’ 자리에 ‘배’를 집어넣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즉, ‘배’와 ‘-레나룻’을 결합하여 만든 것이다. 둘 다 우리말의 말 만들기 규칙과 큰 거리가 있어 아주 자연스럽지는 않다.

이렇듯 ‘배레나룻’이 불명확하고 자연스럽지 않게 새로 만든 말이지만, 순 우리말을 활용한 새말이라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최근 우리말의 새말 만들기에서 순 우리말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왕이면 순 우리말을 활용하여 새말을 만들어 쓸 필요가 있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658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308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8157
    read more
  4. “사겨라” “바꼈어요”

    Date2024.05.31 By風文 Views25
    Read More
  5. “산따” “고기떡” “왈렌끼”

    Date2024.05.31 By風文 Views15
    Read More
  6.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Date2024.05.29 By風文 Views34
    Read More
  7. 어이없다

    Date2024.05.29 By風文 Views56
    Read More
  8.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Date2024.05.10 By風文 Views338
    Read More
  9.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360
    Read More
  10.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454
    Read More
  11.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418
    Read More
  12.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Date2024.03.27 By風文 Views1397
    Read More
  13. 갑질

    Date2024.03.27 By風文 Views1302
    Read More
  14. 웃어른/ 윗집/ 위층

    Date2024.03.26 By風文 Views1226
    Read More
  15. 온나인? 올라인?

    Date2024.03.26 By風文 Views1169
    Read More
  16. 가던 길 그냥 가든가

    Date2024.02.21 By風文 Views1314
    Read More
  17. ‘끄물끄물’ ‘꾸물꾸물’

    Date2024.02.21 By風文 Views1241
    Read More
  18. 배레나룻

    Date2024.02.18 By風文 Views1197
    Read More
  19. ‘요새’와 ‘금세’

    Date2024.02.18 By風文 Views1292
    Read More
  20.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Date2024.02.17 By風文 Views1200
    Read More
  21. 내 청춘에게?

    Date2024.02.17 By風文 Views1206
    Read More
  22. 금수저 흙수저

    Date2024.02.08 By風文 Views1258
    Read More
  23. 김치 담그셨어요?

    Date2024.02.08 By風文 Views1348
    Read More
  24. 바람을 피다?

    Date2024.01.20 By風文 Views1245
    Read More
  25. ‘시월’ ‘오뉴월’

    Date2024.01.20 By風文 Views135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