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8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장장 138일간에 걸쳐 5만여 명이 출연한 역사적 방송, 분단이 빚어낸 슬픈 감동의 드라마였다. 삼십 년이 지났지만 이산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얼마 전 금강산에서 이뤄진 이산가족 상봉을 보며 60년이 넘는 세월도 혈육의 인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임을 다시 느꼈다.

흔히 인연을 얘기할 때 ‘뗄래야 뗄 수 없는’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의 잘못이다. ‘떼려야’는 ‘떼다’의 ‘떼’와 ‘려야’가 결합한 말로 ‘-려야’는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것이다. 즉 ‘떼려고 하여야 뗄 수 없는’이 줄어 ‘떼려야 뗄 수 없는’이 된 것이다. ‘떼’에 ‘ㄹ래야’가 결합한 ‘뗄래야’는 풀어 쓰면 ‘뗄라고 해야’가 되는데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갈래야 갈 수 없는 고향’도 ‘가려야 갈 수 없는 고향’으로 쓰는 것이 맞다. ‘가려야’는 ‘갈라고 해야’가 아니라 ‘가려고 해야’가 줄어든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예는 수도 없이 많다. ‘먹을래야 먹을 수 없는 음식’이 아니라 ‘먹으려야 먹을 수 없는 음식’, ‘볼래야 볼 수 없는 광경’이 아니라 ‘보려야 볼 수 없는 광경’, ‘할래야 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하려야 할 수 없는 일’로 쓰는 것이 맞다.

많은 사람들이 ‘떼려야’가 맞는 표현이라고 해도 ‘뗄래야’가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아마도 입에 익지 않아서일 것이다.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뗄래야’를 계속 고집한다면 언젠가는 규정이 바뀔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아니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8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88
341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91
3413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995
3412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1008
3411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1029
3410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1032
3409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1078
3408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090
3407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08
3406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1113
3405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1116
340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1132
3403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139
3402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44
3401 뒷담화 風文 2020.05.03 1149
3400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1149
3399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1157
3398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1163
3397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1166
3396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168
3395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1185
3394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風文 2022.10.06 1192
3393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