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3 17:43

있다가, 이따가

조회 수 11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있다가, 이따가

요즘 약속은 대부분 문자로 이뤄진다. “그래, 그럼 이따가 거기서 만나.”라고 문자메시지를 친구에게 보낼 때 고개를 갸웃거린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있다가’라고 써야 하나, ‘이따가’라고 써야 하나?

‘있다’라는 말이 있으니 ‘있다가’가 맞고, 소리 나는 대로 쓴 ‘이따가’는 틀린 표기일 거라고 짐작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있다가’와 ‘이따가’는 둘 다 맞는 표기다. 다만 뜻과 쓰임새가 다르므로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있다가’는 ‘있다’의 어간 ‘있-’에 ‘먹다가, 자다가, 가다가’ 할 때의 ‘-다가’가 붙어서 된 말이다. ‘-다가’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지 못하고 바뀌게 되는 상황에 쓰이는 연결어미다. 따라서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다가’가 붙으면 앞의 동작이나 상황이 달라짐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가 따라 나오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먹다가’가 쓰이면 ‘먹다가 잠이 들었다’든가 ‘먹다가 말았다’처럼 먹던 상황이 지속되지 못하고 장면이 달라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서술어가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있다가’는 ‘어떤 장소에 머무르거나 존재하다가’ 또는 ‘어떤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가’ 등의 뜻을 나타내며 뒤에 장면의 전환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와 연결이 된다. ‘하루 종일 집에 있다가 저녁에 친구를 만나러 밖으로 나갔다.’든가 ‘음식을 삼키지 않고 입에 물고 있다가 뱉었다.’같이 쓰인다.

‘이따가’는 ‘시간이 조금 지난 뒤에’를 뜻하는 부사이다. 어원적으로는 ‘있다가’로부터 나왔지만, 본뜻인 ‘존재하다’로부터 뜻이 상당히 멀어졌다고 판단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하고 있다. ‘이따가 만나자’거나 ‘잠시 쉬었다가 이따가 다시 할게.’에서처럼 ‘잠시 후에’의 뜻을 나타낼 때 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660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8201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6Jan
    by 風文
    2024/01/16 by 風文
    Views 1298 

    “영수증 받으실게요”

  5. No Image 16Jan
    by 風文
    2024/01/16 by 風文
    Views 1346 

    ‘도와센터’ ‘몰던카’

  6. No Image 09Jan
    by 風文
    2024/01/09 by 風文
    Views 1349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7. No Image 09Jan
    by 風文
    2024/01/09 by 風文
    Views 1458 

    헷갈리는 맞춤법

  8.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131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9.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189 

    북한의 ‘한글날’

  10. No Image 04Jan
    by 風文
    2024/01/04 by 風文
    Views 1146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11. No Image 04Jan
    by 風文
    2024/01/04 by 風文
    Views 1125 

    ‘폭팔’과 ‘망말’

  12. No Image 03Jan
    by 風文
    2024/01/03 by 風文
    Views 1193 

    있다가, 이따가

  13. No Image 03Jan
    by 風文
    2024/01/03 by 風文
    Views 1036 

    내일러

  14.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983 

    아주버님, 처남댁

  15.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051 

    한 두름, 한 손

  16.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125 

    ‘이고세’와 ‘푸르지오’

  17.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0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18. No Image 29Dec
    by 風文
    2023/12/29 by 風文
    Views 1078 

    뒤치다꺼리

  19. No Image 29Dec
    by 風文
    2023/12/29 by 風文
    Views 1118 

    ‘~스런’

  20. No Image 28Dec
    by 風文
    2023/12/28 by 風文
    Views 1069 

    ‘며칠’과 ‘몇 일’

  21. No Image 28Dec
    by 風文
    2023/12/28 by 風文
    Views 1166 

    한소끔과 한 움큼

  22.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041 

    '-시키다’

  23.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918 

    여보세요?

  24. No Image 21Dec
    by 風文
    2023/12/21 by 風文
    Views 986 

    장녀, 외딸, 고명딸

  25. No Image 20Dec
    by 風文
    2023/12/20 by 風文
    Views 899 

    어떤 반성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