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2 06:09

'-시키다’

조회 수 14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키다’

얼마 전 한 홈쇼핑 방송에서 진행자가 “오늘은 ○○을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소개시키다’는 평소 자주 듣던 말이다. 그런데 홈쇼핑 방송 진행자가 직접 어떤 상품을 소개하면서 한 말이므로, ‘소개시키다’는 부적절한 사동 표현이다.

우리말에서 자기 스스로 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지 않고 남에게 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일을 ‘사동’이라 한다. 즉 ‘사동’이란 남에게 어떤 일이나 행동을 ‘시킴’을 나타낸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밥을 먹이다”나 “어머니가 아이에게 밥을 먹게 하다”에서 어머니가 아이에게 밥을 먹게 함을 뜻하므로 이들은 사동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앞의 예는 ‘먹-’에 결합된 ‘-이-’에 의해, 뒤의 예는 ‘-게 하다’에 의해 사동을 나타낸다. 그 밖에 ‘-시키다’에 의해 사동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쉬운 설명으로 학생에게 어려운 수학을 잘 이해시키다”에서는 ‘이해’에 결합된 ‘-시키다’에 의해 사동을 나타낸다.

그런데 최근 ‘-시키다’의 사용이 남용 수준에 이르렀다. 사동의 의미가 없는데도 빈번히 ‘-시키다’를 쓰고 있다. ‘소개시키다’, ‘접수시키다’, ‘교육시키다’ 등이 그렇다. 남에게 소개ㆍ접수ㆍ교육하게 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 말의 사용은 부적절하다. ‘소개시키다’ 등이 ‘소개하다’ 등을 강조한 말이라고 많은 사람들은 생각한다. 잘못된 생각이다.

내가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이었을 적, 선생님께서는 우리들이 ‘거짓말시키다’를 쓸 때마다 그것이 ‘거짓말하다’의 잘못임을 지적해 주시곤 했다. 그땐 선생님께서 별것 아닌 것 가지고 괜히 꼰대질(?)을 한다 생각했는데, 이제는 내가 선생이 되어 그런 꼰대질(?)을 계속하고 있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604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262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7552
    read more
  4. “사겨라” “바꼈어요”

    Date2024.05.31 By風文 Views34
    Read More
  5. “산따” “고기떡” “왈렌끼”

    Date2024.05.31 By風文 Views78
    Read More
  6.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Date2024.05.29 By風文 Views81
    Read More
  7. 어이없다

    Date2024.05.29 By風文 Views99
    Read More
  8.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Date2024.05.10 By風文 Views672
    Read More
  9.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752
    Read More
  10. 말의 권모술수

    Date2021.10.13 By風文 Views815
    Read More
  11.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821
    Read More
  12.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829
    Read More
  13. 무제한 발언권

    Date2021.09.14 By風文 Views840
    Read More
  14.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853
    Read More
  15. 언어적 주도력

    Date2021.09.13 By風文 Views856
    Read More
  16. 법률과 애국

    Date2021.09.10 By風文 Views862
    Read More
  17.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877
    Read More
  18. 아무 - 누구

    Date2020.05.05 By風文 Views878
    Read More
  19. 공공 재산, 전화

    Date2021.10.08 By風文 Views887
    Read More
  20. 군인의 말투

    Date2021.09.14 By風文 Views892
    Read More
  21. 정치인들의 말

    Date2021.10.08 By風文 Views899
    Read More
  22. 또 다른 이름

    Date2021.09.05 By風文 Views935
    Read More
  23. 어버이들

    Date2021.10.10 By風文 Views945
    Read More
  24.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946
    Read More
  25. 고령화와 언어

    Date2021.10.13 By風文 Views96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