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5.22 06:13

단골

조회 수 17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단골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결혼할 사람이 있었다. 다섯살 무렵. 아버지와 옆 마을 아저씨는 자식들이 크면 결혼시키자는 약조를 맺었다. 풉, 가난뱅이들의 정략결혼이라니. 이듬해 겨울, 어머니는 그 아이가 많이 아파 단골무당을 불러 굿을 한다고 하니 같이 가자고 했다. 단칸방 귀퉁이에 앉아 두려운 눈으로 무당의 푸닥거리를 보았다. 며칠 후 그 아이는 죽었다.

애초에 ‘단골’이란 말은 굿을 하거나 점을 칠 때 자주 부르는 ‘무당’을 뜻했다. 지금은 자주 가는 가게라는 뜻으로 일반화되었다. 손님도 주인을 보고 단골이라 하고, 주인도 손님한테 단골이라 한다. 서로가 서로를 단골이라 부르니 재미있다. 어디서든 ‘갑을’을 따지는 사회에서 이런 말이 또 있을까.

‘단골’은 사랑과 닮았다. 그냥, 좋다. 왜냐고 물으면 달리 답을 찾을 수 없을 때, 그게 단골이다. 더 맛있는 집이 널려 있건만, ‘왠지 모르게’ 그 집이 편하고 맛있고 먼저 떠오르고 다시 가고(보고) 싶어진다.

횟수는 안 중요하다. 뜨문뜨문 가도 애틋하다. 규격화된 맛과 정해진 응대 절차를 따르는 체인점이 단골이 되기는 쉽지 않다. ‘맛집’이나 ‘핫 플레이스’와도 다르다. 그 장소에 내가 포함되어 있다는 느낌, 그 공간의 역사에 나도 동참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단골의 심리적 조건이다.

울적하게 앉아 맥주 몇병을 세워두고 있는 나에게 단골집 주인이 “오늘은 비참하게 앉아 있네”라 한다. “그렇게 보여요?” 하며 같이 웃는다. 얼굴이 불콰하도록 먹고 나서려는데, 그냥 가라며 등을 떠민다. 내 삶은 단조롭긴 하지만, 행복하다. 무도한 시대를 버티는 아지트, 단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70
3106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845
3105 웨하스 / 염장 風文 2020.06.10 1846
3104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850
3103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851
3102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852
3101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853
3100 ‘~스런’ 風文 2023.12.29 1854
3099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857
3098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857
309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863
3096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868
3095 존맛 風文 2023.06.28 1868
3094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868
3093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871
3092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871
3091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875
3090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875
3089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878
3088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886
3087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888
3086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895
3085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8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