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어와 국립국어원

한글날 기념, 따분한 얘기 하나 하자. ‘국어’라는 말은 공용어인 한국어를 뜻하지만, 쓰임새를 보면 밀가루 반죽처럼 늘었다 줄었다 한다.

‘국어 실력’이라 할 때 ‘국어’는 ‘어휘력, 표준어, 띄어쓰기, 맞춤법, 어법’을 연상시킨다. ‘국어사전’에서 ‘국어’는 주로 단어들이다.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는 ‘문학’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국어학 전공을 뜻한다. 국어학자와 국문학자는 소장수와 꽃장수만큼이나 다르다. ‘국문과’라 줄여 말하는 데에는 문학의 주도권이 배어 있다. 반면에 ‘국어 교사’가 가르치는 ‘국어’는 한국어를 매개로 한 말글살이를 모두 아우른다. 수능에서도 ‘국어 영역’은 ‘화법, 작문, 문법, 독서, 문학’을 다 포함한다.

따분한 말을 늘어놓는 이유는 국어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기관인 국립‘국어’원의 기능을 문제 삼기 위해서이다. 국립국어원은 문학과 대칭되는 좁은 ‘국어’, 국어학자들의 ‘국어’에 머물러 있다. 국어기본법에 실린 ‘국어능력’은 ‘국어를 통하여 생각이나 느낌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능력’이다. 그야말로 ‘문해력’(리터러시)이다. 말귀를 알아듣는 역량이자 타인의 세계를 이해하는 능력이다. 글의 내용에 자신의 경험과 배경지식을 연결시켜 추론하고 질문할 수 있는 능력이다.

문해력을 사회적 과제이자 교육정책으로 대할 필요가 있다. 지금처럼 중간지대나 숙려기간 없이 진영과 세대로 갈려 대립하는 소통 환경에서는 문해력 격차 해소와 공공성 확보가 더욱 절실하다. 국립국어원은 문해력 증진 기관이다.





“처음 대답하는 사람이 중요해요. 강○○!” “예.” “아니, ‘예’ 말고 ‘응’이라고 해봐요. 겁내지 말고.” “…… 응.” “잘했어요. 거봐요. 할 수 있잖아요.”

나는 출석을 부를 때 학생들에게 반말로 대답하라고 ‘강요’한다. 괴팍하고 미풍양속을 해치는 일이지만, 잔재미가 있다. 그러다가 스무 명쯤 지나면 강도를 한 단계 높인다. “평소에 엄마 아빠가 부르면 뭐라 했는지 생각해서 대답해 봐요. 자, 용기를 내요. 박○○!” 머뭇거리며 답한다. “왜!!”(내키는 대로 해보라고 하면 가끔 간이 많이 부은 학생이 ‘오냐’라고 해서 응급실에 보내기도 한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이 수업에서 반말로 대답하는 걸 갈고닦아 딴 강의에서 엉겁결에 ‘왜’라고 하여 낭패를 당했다는 미담을 듣는 것입니다. 낄낄낄.”

말은 명령이다. ‘예’와 ‘응’과 ‘왜’를 언제 써야 하는지 가르친다. 어기면 돌을 씹은 듯이 불편해한다. 그래서 ‘반말 놀이’는 규율을 깼다는 짜릿한 해방감도 느끼게 하지만, 누구도 어길 수 없는 명령의 체계(말의 질서) 속에 내가 던져져 있음을 무겁게 확인하게도 한다. 다만 말이 만든 경계선을 놀이처럼 한 번씩 밟고 넘어감으로써 그 질서를 상대화한다. 말은 피할 수 없으니 더욱 의심해야 하는 질서다.

부풀려 말하면 선생에게 ‘왜’라고 답해본 학생들은 시대에도 항의할 수 있다. 그러니 긴장들 하시라. 말에 속지 않고 ‘왜? 왜 그래야 되는데?’라며 달려드는 젊은이들이 해마다 속출할 것이다. 권력의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상상력에 뿌리박은 채, 야금야금.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5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06
3282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24
3281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424
3280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26
3279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26
3278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27
3277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33
3276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434
3275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36
3274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437
3273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38
3272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39
3271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41
3270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41
326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41
3268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42
3267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43
3266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443
3265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446
3264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47
3263 내일러 風文 2024.01.03 1447
3262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48
3261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