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애정하다

말은 늘 변한다. 흥미롭게도 변화의 동력은 내부에 있지 않고 외부에 있다. 내용에 있지 않고 형식에 있다. 형식이 마련돼야 내용이 꿈틀거린다. 말도 그 자체로 변하기보다는 새로운 환경에 놓일 때 변한다. 이 새로운 환경이 말의 의미를 바꾸는 동력이 된다.

동작이나 상태의 뜻이 있는 명사에 ‘하다’를 붙여 동사를 만든다. ‘공부하다’ ‘걱정하다’ ‘하품하다’에 붙은 ‘공부, 걱정, 하품’을 보면 말 속에 움직임이나 상태의 의미가 느껴진다. 이럴 경우 ‘하다’는 명사의 동작이나 상태를 곁에서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나무’라는 말에서 어떤 동작이나 상태의 의미를 찾기는 어렵다. 그저 사물을 뜻한다. 그런데 ‘하다’가 붙자마자 나무를 ‘베거나 주워 모으는 행동’의 뜻을 갖게 된다. 그렇다면 ‘명사’가 ‘하다’와 함께 쓰인다는 환경 자체가 원래 없던 동작과 상태의 뜻을 갖게 하는 조건이 된다.

‘애정하다’가 낯설다. 비슷한 뜻의 ‘사랑하다’ ‘좋아하다’가 있는데도 새로 자주 쓰인다. ‘애정’에는 동작의 뜻이 없었다. ‘하다’와 붙여 쓰다 보니 없던 동작성이 생겼다. 시간이 흐르면 자연스러워질 것이다. 몇 해 전에 공격한다는 뜻으로 유행했던 ‘방법하다’도 비슷하다. 반복적으로 많이 쓰이면 시민권을 얻는다. 어제는 틀린 말이 오늘은 맞는 말이 된다. ‘축구하다, 야구하다, 수영하다’는 자연스러운데 ‘탁구하다, 골프하다’는 살짝 어색하다.

어쩌면 낯익음과 낯섦의 간극은 어떤 인과의 논리 때문이 아니라 그저 얼마나 자주 만나고 보고 쓰느냐에 달려 있다.

……………………………………………………………………………………………………………

 예쁜 말은 없다

한심하게도 나는 아내와 말다툼을 할 때마다 입을 꾹 다문다. 내 잘못이라 달리 변명할 말이 없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차별의식이 배어 있어 그렇다. 이런 사람들이 경기 내내 얼굴을 감싸고 웅크린 권투선수처럼 입을 닫아 버리는 것이다. 잔뜩 웅크리고 있던 내가 반격의 찍소리를 하게 되는 경우는 열에 아홉 내용보다는 말투가 귀에 거슬릴 때다.

타인에게 ‘예쁘게 말하라’고 요구하는 상황이 대부분 그렇다. 그런데도 평소에 우리는 말 자체에 ‘곱고 예쁜 말’이 있다고 착각한다. 예쁜 말은 ‘검기울다, 길섶, 싸라기눈, 애오라지, 잠포록하다, 푸서리, 해거름’처럼 한자어나 외래어가 아닌 ‘순수한’ 고유어의 이미지와 닿아 있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예쁜 말’이 무엇인지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왜 고유어는 예쁜 말이고 한자어나 외래어는 예쁘지 않은가. 우리의 정서를 잘 담고 있어서? 어감이 좋아서? 그런 정서와 감각은 모두 같을까? 말뜻이 잘 통하고 더 많은 이를 포용하는 말이라면 무엇이든 ‘예쁜 말’ 아닐까? 예쁜 말은 따로 없다.

더구나 대화 장면에서 ‘예쁜 말 하기’는 예쁜 낱말을 골라 쓰라는 뜻이 아니다. ‘아무리 옳은 말이라도 말 예쁘게 합시다’, ‘예쁘게 말하면 다 들어줄 수 있다’는 말은 대화 내용에 대해는 ‘할 말 없음!’이지만 대신 내가 그어놓은 선을 넘지 말고 고분고분 말하라는 이율배반의 뜻이다. 동등한 위치가 아님을 다시 확인시켜 주는 신호이자 자신은 한 치도 움직이지 않고 있다는 자백이기도 하다. 적어도 섣달그믐까지는 예쁘게 말하라는 말을 하지 않겠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82
3392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1138
3391 내색 風文 2023.11.24 1147
3390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48
338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156
3388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173
3387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175
338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178
3385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184
3384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87
3383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190
3382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207
3381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209
3380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211
3379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217
3378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風文 2022.10.07 1217
3377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218
3376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219
337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222
3374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224
3373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227
3372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228
3371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2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