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5.18 12:21

혼성어

조회 수 14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혼성어

말이란 것은 늘 바르게만 하게 되지 않는다. 종종 이지러뜨리고 삐뚤게 하기도 한다. 그래서 반듯한 말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을 속상하게 하기도 하지만, 자극적인 표현을 선호하는 연예계나 광고계 같은 데서는 오히려 좋은 반응을 얻기도 한다.

단어를 형성할 때는 나름의 규칙을 제공하는 조항들이 있다. 이른바 ‘문법적인 요소’들이다. 그런 것을 이용해서 말을 만들면 ‘이론적’이고 단정해 보인다. 그러나 말을 즐기려는 사람들은 이론적인 것보다는 ‘직관적’인 것을 더 선호한다. 그래서 어휘를 규칙에 따라 조립하기보다는 범벅을 만들어 의미보다 느낌을 얻으려 한다. 그러다 보니 희한한 어휘가 주조되기도 한다.

어느 방송에서 방영되는 ‘… 들었쇼’라는 프로그램은 오타가 아니다. 의도된 작품이다. 또 ‘소통’이 아닌 ‘쇼통’이란 말도 나타난다. 일반적인 어휘 의미에다가 무언가의 ‘느낌’을 더 얹어서 표현하려는 시도이다. ‘일코노미’라는 말도 독신자들이 많아진 세태의 여러 모습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혼술, 혼밥’처럼 일종의 ‘혼성어’들이다.

혼성어 가운데 이미 잘 알려진 것은 영어의 ‘브런치’가 대표적이다. 아침식사(브렉퍼스트)와 점심식사(런치) 중간에 먹는 끼니를 일컬으며 요즘은 우리도 그냥 ‘아점’이라고들 한다. 한국식 영어를 뜻하는 ‘콩글리시’도 여기에 든다. 이러한 결합에는 기존의 ‘문법’이라는 요소를 부차적으로 다루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좀 거북한 표현이 될 수도 있고 또 달리 인상적인 표현이 되기도 한다.

좀 과잉 혼성이라 할 만한 것도 눈에 띈다. 서울의 시민 공공 자전거를 ‘따릉이’라고 하는 것은 꽤 맛깔스러운데 그 애용자를 ‘따릉러’라고 하는 것은 무언가 너무 나갔다는 느낌이다. 마음에 꽂히는 재치는 남용보다는 ‘파격과 절제’에서 더 반짝이지 않을까 한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84
319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537
3193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857
3192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96
3191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483
3190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681
3189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234
3188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7022
3187 바람의종 2008.03.18 6705
3186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329
3185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400
3184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530
3183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794
3182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521
3181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05
3180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046
3179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734
3178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452
3177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567
3176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272
3175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117
3174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943
3173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5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