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5 14:04

연말용 상투어

조회 수 10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연말용 상투어

늘 쓰는 말 가운데 상투어가 있다. 단어 낱낱의 뜻과 관계없이 습관처럼 입에 익어서 사용하는 말들이다. 아는 사람과 우연히 마주쳤을 때 반가워하며 “그렇잖아도 연락 한번 드리려고 했는데…” 같은 말들은 그 문장 내용의 사실 여부가 중요하지 않다. 서로의 우호적인 감정을 드러내기만 하면 충분하다. 상당히 많은 상투어가 이렇게 의례적으로 주고받는 말들이다.

상투어는 대개 일정하게 ‘정형화된 상황’을 계기로 삼아 사용된다. 보통 결혼식, 장례식, 축하 모임, 문안 인사 등이 상투어 사용의 계기들이다. 상투어는 진부한 부분도 있지만, 지나치게 세세하고 복잡한 언어적 묘사와 서술을 줄여주는 무척 요긴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투어가 없었다면 우리는 매 순간 독특하고 적절한 표현을 찾느라 몹시 피곤했을 것이다.

한 해를 마감하는 ‘상황’에도 상투적으로 주고받는 인사말들이 있다. 그 가운데 가장 흔한 것이 아마도 ‘다사다난한 올해를…’이라는 표현일 것이다. ‘일도 많고 탈도 많은’이라는 의미이지만 그런 뜻보다는 올해도 수고 많았다는 인사처럼 쓰였다. 그런데 몇 해 전부턴가 왠지 이 말이 품은 심각하고 진지한 의미가 살아나며 부담스러워졌다. 단순한 상투어가 아니라 괜히 이런 말을 방정맞게 자주 사용해서 궂은일이 자꾸 터지는 것 같은 꺼림칙함 말이다.

특히 지난해는 정치적으로 국민들 마음이 이루 말할 수 없이 힘들고 번잡스러웠다. 뜻을 모아 마음을 함께하는 일이 보람도 있었지만 무척 힘들고 피곤했던 점도 부인할 수 없다. 진정 원래의 단어 뜻 그대로 ‘다사다난’했다는 느낌이 든다. 올해에는 그동안의 온갖 적폐를 속시원히 털어내고 다음 연말은 ‘다사다난’이라는 말을 정말 마음 가벼운 상투어로만 사용했으면 한다.

김하수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5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0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130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22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46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4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09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080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584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26
314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18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03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21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71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54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18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47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544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29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361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48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19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879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