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09 20:53

한자를 몰라도

조회 수 13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자를 몰라도

한자를 잘 아는 사람들이나 잘 모르는 사람들이나 쉽게 믿게 되는 것이, 한자를 알면 의미 파악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정말 그럴까? ‘부모’나 ‘농촌’ 같은 말의 의미를 정말 父母, 農村이라는 한자를 통해서만 쉽게 알 수 있을까?

사실 그러한 어휘의 대부분은 소리만 들어도 금방 그 의미가 떠오르도록 우리의 인지 과정은 고도로 정비되어 있다. 그래서 거의 대부분의 한자어는 ‘한자’라는 중간 단계가 필요 없이 의미를 직접 파악해 버린다. 좀 어려운 말의 경우에, 癡?(치매), 蒙昧(몽매)와 같은 말들은 일일이 한자를 따지느니 그냥 말소리만 외우고 개념을 익히는 게 훨씬 더 편하다.

한자는 원래의 의미를 잃고 어휘의 한 부분으로 변한 경우도 많다. 사람의 모양을 한 노리개를 인형(人形)이라 한다. 한자로 사람의 모양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곰이나 개의 모양으로 만든 것을 웅형(熊形)이나 견형(犬形)이라 하지 않고 그냥 곰 인형, 개 인형이라고 한다. 이미 인형이라는 말이 굳어져 버렸기 때문이다. 이 경우도 한자 ‘人形’은 별다른 기능을 하지 못한다.

저녁거리에 주전부리를 파는 ‘포장마차’를 보라. 말이 끄는 포장마차를 보았는가? 말이 끄는 수레로 비유하다 보니 한자는 있으나 마나 하게 되었다. 수많은 한자어의 처지가 이러하다. 닭의 가슴에 붙은 살을 계륵이라고 했다. 그러나 요즘은 닭가슴살은 영양식으로, 불필요한 군것을 가리켜 계륵이라 한다. 한자의 ‘어휘 의미’로 나타낼 수 없는 ‘감성적 의미’가 풍부해진 것이다.

한자를 몰라도, 또는 안 써도 이제는 언어생활에 큰 불편은 없게 되었다. 2천여 년 동안 인습화된 문자 생활이 겨우 100년 남짓 동안 혁신된 셈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00
3128 탕비실 바람의종 2010.07.23 10533
3127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735
3126 타산지석 바람의종 2010.03.10 10523
3125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048
3124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482
3123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739
3122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03
3121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173
3120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215
3119 쿨 비즈 바람의종 2010.05.07 10692
3118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19
3117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1991
3116 쿠사리 바람의종 2008.02.19 10885
3115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684
3114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315
3113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277
3112 코펠 바람의종 2010.03.03 12429
3111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26
3110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487
3109 커피샵 바람의종 2010.10.04 11625
3108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298
3107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