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0.15 15:21

세로드립

조회 수 13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로드립

언어의 기능을 교과서적으로 이야기하면, 정보와 사상을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줄여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과서 안의 지식보다 바깥 지식이 더 많듯이, 언어도 교과서 바깥의 기능이 더 많다. 예를 들어 말장난, 남을 놀리거나 약 올리기, 거룩한 대상에 대한 희롱이나 조롱 같은 것들은 언어의 또 다른 다양한 역할이다.

점잖은 작가들은 언어로 사랑과 비애, 순정과 분노를 적절히 걸러내며 그들의 ‘작품’을 만든다. 반대로 세속의 보통사람들은 언어로 온갖 장난을 치며 살아간다. 진지함보다는 가벼움으로, 감정의 승화보다는 배설을 선호한다. 이른바 속세의 말장난들이다. 대중이 생산한 통속문학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래전에 유행했던 ‘덩달이 시리즈’라든지 ‘만득이 시리즈’ 또는 요즘도 간간이 하고 있는 ‘삼행시’ 같은 것들을 예로 들 수 있겠다.

뜻하지 않게 요즈음 ‘세로드립’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다. 가로로 쓴 문장들의 첫 번 음절들을 세로로도 읽을 수 있게 메시지를 이중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가로로 던지는 사연은 긍정적인 것으로, 세로로 말하는 내용은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것으로 엮음으로써 상호모순적이고도 양가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고도의 문학 정신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대중 속에서 끓어오르는 비아냥, 조소 등을 잘 드러내 준다.

이런 작품이 점잖은 공모전에 당선되어 웃음거리가 되고 이러한 언어유희를 놓고 송사까지 벌어지는 모양이다. 희롱당한 측의 노여움은 백분 이해되나 유희나 개그를 대상으로 재판을 벌인다는 것은 더 큰 조롱을 불러들이는 지름길이 되지 않을까 한다. 차라리 스스로를 되돌아보며 그와 같은 찬양 문학의 공모전이 과연 지금의 시대정신에 부합하기는 했는지를 되묻는 것이 가장 슬기로운 길이 아닌가 한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161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310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143 

    개헌을 한다면

  5. No Image 30Oct
    by 風文
    2021/10/30 by 風文
    Views 1133 

    소통과 삐딱함

  6. No Image 30Oct
    by 風文
    2021/10/30 by 風文
    Views 1240 

    말의 미혹

  7.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263 

    난민과 탈북자

  8.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114 

    언어와 인권

  9. No Image 15Oct
    by 風文
    2021/10/15 by 風文
    Views 1317 

    세로드립

  10. No Image 15Oct
    by 風文
    2021/10/15 by 風文
    Views 1191 

    ‘선진화’의 길

  11.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162 

    언어의 혁신

  12.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874 

    재판받는 한글

  13.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685 

    말의 권모술수

  14.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848 

    고령화와 언어

  15.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837 

    어버이들

  16.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804 

    상투적인 반성

  17.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759 

    정치인들의 말

  18.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752 

    공공 재산, 전화

  19.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089 

    편견의 어휘

  20.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020 

    비판과 막말

  21.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738 

    군인의 말투

  22.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736 

    무제한 발언권

  23.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759 

    언어적 주도력

  24.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770 

    악담의 악순환

  25.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737 

    법률과 애국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