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15 12:46

비판과 막말

조회 수 10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비판과 막말

언제부턴지 우리 정치판에서 ‘막말’이라는, 개념이 불투명한 말이 남용되고 있다. 이 말은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저급한 표현을 가리키지만 동시에 시퍼렇게 날이 선 비판적인 표현에도 똑같은 딱지를 붙이기도 한다. 냉정한 구분이 필요하다.

정치인의 말은 자신의 개인적인 언어활동이기도 하면서 사회집단의 의견과 마음을 ‘대변’하는 기능도 한다. 그들이 우리 사회의 그늘진 곳에서 피해를 본 억울한 집단을 대변하려 한다면 그 어찌 곱고 단정한 어휘로만 말을 할 수 있겠는가? 또 책임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국가기관을 비판하거나 책임자를 추궁하는 일에 어찌 무미건조한 어휘로 그 뜻을 제대로 전할 수 있겠는가? 언어를 비판적으로 사용하려면 풍자, 비유, 조소 등에 매우 능해야 하고, 강자에 대한 도전 의식과 약자에 대한 공감 능력도 필수적이다. 또 비판적인 언어는 주어진 판세 자체를 흔드는 기능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얌전한 말만 골라 쓰자고 강요한다면 기존 판세에서 가장 유리한 사람들이 또 덕을 보게 된다. 새로운 판세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자신의 언어를 매우 강하게, 맵게, 매몰차게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무턱대고 ‘막말’을 쓰면 안 된다고 하는 주장은 사실상 누군가의 편을 드는 셈이다. 더구나 개념이 불분명하면 정치적 약자 아무한테나 뒤집어씌우기도 딱 좋다.

정치인과 유권자들의 소통을 이어주는 중요한 책임은 언론 매체에 있다. 따라서 목청을 높여 누가 막말을 했다고 요란을 떨기보다는 왜 그 말을 했는지, 그 말은 궁극적으로 누구에게 유리하고 불리한지를 예리하고 차분하게 보도하는 것이 옳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권자들이 그 ‘맥락’을 스스로 깨닫게 해야 한다. 그다음의 판단은 유권자의 몫이다. 보도 매체가 스스로 정치하려고 나서니까 불분명한 개념으로 우리의 정치가, 정치인들이 망가져 가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187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837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3356
    read more
  4. 개헌을 한다면

    Date2021.10.31 By風文 Views1154
    Read More
  5. 소통과 삐딱함

    Date2021.10.30 By風文 Views1139
    Read More
  6. 말의 미혹

    Date2021.10.30 By風文 Views1247
    Read More
  7. 난민과 탈북자

    Date2021.10.28 By風文 Views1266
    Read More
  8.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130
    Read More
  9. 세로드립

    Date2021.10.15 By風文 Views1326
    Read More
  10. ‘선진화’의 길

    Date2021.10.15 By風文 Views1205
    Read More
  11. 언어의 혁신

    Date2021.10.14 By風文 Views1163
    Read More
  12. 재판받는 한글

    Date2021.10.14 By風文 Views878
    Read More
  13. 말의 권모술수

    Date2021.10.13 By風文 Views687
    Read More
  14. 고령화와 언어

    Date2021.10.13 By風文 Views851
    Read More
  15. 어버이들

    Date2021.10.10 By風文 Views851
    Read More
  16.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804
    Read More
  17. 정치인들의 말

    Date2021.10.08 By風文 Views768
    Read More
  18. 공공 재산, 전화

    Date2021.10.08 By風文 Views763
    Read More
  19. 편견의 어휘

    Date2021.09.15 By風文 Views1089
    Read More
  20. 비판과 막말

    Date2021.09.15 By風文 Views1022
    Read More
  21. 군인의 말투

    Date2021.09.14 By風文 Views748
    Read More
  22. 무제한 발언권

    Date2021.09.14 By風文 Views745
    Read More
  23. 언어적 주도력

    Date2021.09.13 By風文 Views763
    Read More
  24.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792
    Read More
  25. 법률과 애국

    Date2021.09.10 By風文 Views73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