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3 23:59

옹알이

조회 수 11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옹알이

 아기들이 태어나서 처음 사용하는 언어는 무엇일까? 보통 엄마나 아빠라는 말이 아니냐고들 하지만 사실 아기들의 말 배우기는 훨씬 일찍 시작된다. 아마도 첫 번 언어는 울음일 것이다. 울음은 모든 욕망을 표현하는 일차적 수단이다. 울음에 대응하여 엄마들은 언어를 사용한다. 울음과 말이라는 소통의 비대칭은 아기들이 스스로 언어를 향해 적극적으로 다가오면서 해소가 된다. 그 첫걸음이 옹알이라고 할 수 있다.

 옹알이는 아기들의 언어이다. 아니 아직 언어라고 할 수는 없다. 언어가 꽃이라면 옹알이는 꽃눈이자 떡잎이다. 아기들은 옹알이로 언어에 다가들어선다. 갓 태어났을 때는 옹알이인지 아니면 우연히 새어나온 소리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그러나 생후 약 여섯 달이 되면 억양 같은 가락이 생기기 시작한다. 아직 전혀 문장 구성이나 어휘 형성이 되어있지 않으나 얼핏 들으면 마치 무슨 말을 하려고 했던 것 같은 어조와 억양을 구현한다.

 흥미롭게도 아기들은 흥분 상태에서는 옹알이를 하지 않고 평안한 상태에서 옹알이를 한다고 한다. 부모가 아기들을 평안하게 보호해 줄수록 언어의 기초를 더 충분히 닦을 수 있다는 뜻도 될 것이다.

 엄마들은 전혀 의미를 담고 있는 것 같지 않은 옹알이를 향해 맞장구를 친다. 아기들은 또 그 맞장구에 응답하는 옹알이를 한다. 이러한 엄마와 아기의 ‘가상적 대화’는 이후 평생을 사용하게 되는 언어의 가장 단단한 밑바탕을 만들어 간다. 자음과 모음도 서서히 구분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우리는 모어를 배워서 평생 사용하게 되었다.

 어조와 억양은 개별 언어의 가장 큰 특색이다. 또한 자신이 속한 집단의 정체성을 드러내 주기도 한다. 그리고 그것은 사실상 태어나면서부터 형성된다. 또 어휘는 쉽게 잊어도 이때 옹알이와 함께 익힌 말의 가락은 여간해서는 잊지 않는다. 태어나서 맨 처음 부모와 함께 만든 창작품이기 때문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757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408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8993
    read more
  4. '미망인'이란 말

    Date2021.09.10 By風文 Views794
    Read More
  5.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678
    Read More
  6. 편한 마음으로

    Date2021.09.07 By風文 Views861
    Read More
  7. 치욕의 언어

    Date2021.09.06 By風文 Views881
    Read More
  8. 딱 그 한마디

    Date2021.09.06 By風文 Views832
    Read More
  9. 선교와 압박

    Date2021.09.05 By風文 Views793
    Read More
  10. 또 다른 이름

    Date2021.09.05 By風文 Views800
    Read More
  11. 옹알이

    Date2021.09.03 By風文 Views1192
    Read More
  12.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610
    Read More
  13. 언어 경찰

    Date2021.09.02 By風文 Views824
    Read More
  14. 대명사의 탈출

    Date2021.09.02 By風文 Views959
    Read More
  15. 말의 토착화 / 국가와 교과서

    Date2020.07.20 By風文 Views2261
    Read More
  1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다르게 생각해야 '물건'이 보인다

    Date2020.07.19 By風文 Views2720
    Read More
  17.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Date2020.07.19 By風文 Views2251
    Read More
  1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디어도 끈기다

    Date2020.07.19 By風文 Views2633
    Read More
  1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Date2020.07.18 By風文 Views2062
    Read More
  2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포도밭의 철학

    Date2020.07.17 By風文 Views2565
    Read More
  21.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Date2020.07.16 By風文 Views2412
    Read More
  2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대기업은 싫습니다

    Date2020.07.15 By風文 Views2479
    Read More
  23.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Date2020.07.15 By風文 Views2045
    Read More
  2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들은 잡초처럼 키워라

    Date2020.07.14 By風文 Views2509
    Read More
  25.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Date2020.07.14 By風文 Views202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