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2 22:50

대명사의 탈출

조회 수 11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명사의 탈출

 

‘나와 너’, ‘여기와 저기’와 같은 말을 대명사라고 한다. 대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말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위치에 따라 말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다. 내가 나를 일컬을 때는 분명히 ‘나’였는데, 남이 나를 부를 때는 ‘너’가 된다. 또 ‘그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실체는 그대로인데 누가 어디에서 나를 호출하느냐에 따라 어휘의 모습이 달라진다. 어린아이들은 아직 관계라는 개념에 익숙하지 못하다. 그래서 ‘나’와 ‘너’라는 대명사보다는 아예 이름을 말한다. 

 

관계를 언어로 드러내는 것은 퍽 까다로운 일이다.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인칭에 따라 달라지는 그들의 동사가 얼마나 귀찮았던가. 그들의 언어는 자신과의 관계에 따라 동사의 성격을 다르게 본 것이다. 대명사가 인간의 관계를 드러낸다면 명사는 그 관계를 무표정하게 만든다. 그냥 ‘집’이라 하면 건축물로서의 ‘집’이다. 그러나 ‘우리 집’이라고 하면 ‘우리’의 소유 대상이거나 거주 공간이다.  이러한 대명사들이 그 ‘관계의 표지’를 품에 안은 채 명사의 구역으로 자꾸 탈출하고 있다. 몇 해 전에 ‘우리’라는 말을 특정 정당과 은행의 이름에 사용하기 시작하더니, 요즘은 ‘요기요’, ‘여기 어때’, ‘여기다’ 같은 대명사가 마치 명사인 듯이 응용프로그램(앱) 이름에 등장했다. 품사의 경계를 넘나들면 기능이 중복되게 마련이다. 심지어 지방의 어느 지역을 지나가다가 ‘거기’라는 모텔 이름도 본 적이 있다. “우리 ‘거기’ 갈까?” 하는 소박한 문장 안으로 모텔의 의미가 침투해 들어온 것이다.

 

말의 성격이 슬슬 변하고 있다. 서로의 관계를 보여 주는 대명사가 에일리언처럼 명사(상품명)의 몸에 들어가 소비자들을 낚아채려 한다. 소비자들은 대명사 때문에 그 상품과 자신이 유의미한 관계인 것처럼 느끼게 된다. 원래 소비자와 관계 깊던 대명사가 상품의 진영으로 넘어가 버리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65
3172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727
317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729
3170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729
3169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730
3168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730
316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730
3166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731
3165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731
3164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736
316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741
3162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44
3161 ‘이’와 ‘히’ 風文 2023.05.26 1746
3160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748
3159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748
3158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754
3157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754
3156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754
3155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757
3154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59
3153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59
315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761
3151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7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