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2 22:50

대명사의 탈출

조회 수 9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명사의 탈출

 

‘나와 너’, ‘여기와 저기’와 같은 말을 대명사라고 한다. 대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말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위치에 따라 말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다. 내가 나를 일컬을 때는 분명히 ‘나’였는데, 남이 나를 부를 때는 ‘너’가 된다. 또 ‘그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실체는 그대로인데 누가 어디에서 나를 호출하느냐에 따라 어휘의 모습이 달라진다. 어린아이들은 아직 관계라는 개념에 익숙하지 못하다. 그래서 ‘나’와 ‘너’라는 대명사보다는 아예 이름을 말한다. 

 

관계를 언어로 드러내는 것은 퍽 까다로운 일이다.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인칭에 따라 달라지는 그들의 동사가 얼마나 귀찮았던가. 그들의 언어는 자신과의 관계에 따라 동사의 성격을 다르게 본 것이다. 대명사가 인간의 관계를 드러낸다면 명사는 그 관계를 무표정하게 만든다. 그냥 ‘집’이라 하면 건축물로서의 ‘집’이다. 그러나 ‘우리 집’이라고 하면 ‘우리’의 소유 대상이거나 거주 공간이다.  이러한 대명사들이 그 ‘관계의 표지’를 품에 안은 채 명사의 구역으로 자꾸 탈출하고 있다. 몇 해 전에 ‘우리’라는 말을 특정 정당과 은행의 이름에 사용하기 시작하더니, 요즘은 ‘요기요’, ‘여기 어때’, ‘여기다’ 같은 대명사가 마치 명사인 듯이 응용프로그램(앱) 이름에 등장했다. 품사의 경계를 넘나들면 기능이 중복되게 마련이다. 심지어 지방의 어느 지역을 지나가다가 ‘거기’라는 모텔 이름도 본 적이 있다. “우리 ‘거기’ 갈까?” 하는 소박한 문장 안으로 모텔의 의미가 침투해 들어온 것이다.

 

말의 성격이 슬슬 변하고 있다. 서로의 관계를 보여 주는 대명사가 에일리언처럼 명사(상품명)의 몸에 들어가 소비자들을 낚아채려 한다. 소비자들은 대명사 때문에 그 상품과 자신이 유의미한 관계인 것처럼 느끼게 된다. 원래 소비자와 관계 깊던 대명사가 상품의 진영으로 넘어가 버리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738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3902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8872
    read more
  4. '미망인'이란 말

    Date2021.09.10 By風文 Views791
    Read More
  5.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678
    Read More
  6. 편한 마음으로

    Date2021.09.07 By風文 Views858
    Read More
  7. 치욕의 언어

    Date2021.09.06 By風文 Views877
    Read More
  8. 딱 그 한마디

    Date2021.09.06 By風文 Views829
    Read More
  9. 선교와 압박

    Date2021.09.05 By風文 Views793
    Read More
  10. 또 다른 이름

    Date2021.09.05 By風文 Views792
    Read More
  11. 옹알이

    Date2021.09.03 By風文 Views1190
    Read More
  12.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610
    Read More
  13. 언어 경찰

    Date2021.09.02 By風文 Views824
    Read More
  14. 대명사의 탈출

    Date2021.09.02 By風文 Views959
    Read More
  15. 말의 토착화 / 국가와 교과서

    Date2020.07.20 By風文 Views2261
    Read More
  1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다르게 생각해야 '물건'이 보인다

    Date2020.07.19 By風文 Views2720
    Read More
  17.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Date2020.07.19 By風文 Views2247
    Read More
  1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디어도 끈기다

    Date2020.07.19 By風文 Views2625
    Read More
  1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Date2020.07.18 By風文 Views2062
    Read More
  2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포도밭의 철학

    Date2020.07.17 By風文 Views2565
    Read More
  21.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Date2020.07.16 By風文 Views2407
    Read More
  2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대기업은 싫습니다

    Date2020.07.15 By風文 Views2479
    Read More
  23.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Date2020.07.15 By風文 Views2035
    Read More
  2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들은 잡초처럼 키워라

    Date2020.07.14 By風文 Views2509
    Read More
  25.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Date2020.07.14 By風文 Views202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