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05 11:48

아무 - 누구

조회 수 7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무-누구

보름 전 이 자리를 통해서 “섬뜩한 느낌 주는 ‘살인 진드기’라는 표현은 삼가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 이후 ‘진드기’(ㅈ 일보, ㅊ 교수), ‘공포의 작명’(ㅈ 일보, ㅇ 논설위원) 등의 제목으로 비슷한 뜻을 담은 칼럼이 나왔다. 줄기는 같아도 풀어내는 방식은 달랐다. 동물생태학자와 기자답게 전공과 취재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분석을 담아 썼기 때문이다. 세상살이를 두고 ‘누구’라도 떠들 수 있지만 논리를 갖춰 매체에 글을 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기도 하다.

엊그제 라디오에서 ‘기미, 주근깨 따위에 효과가 있다’는 치료제 광고가 나왔다. ‘(피부 고운) 공주는 아무나…’ 하는 대목에 언어 직관을 거스르는 내용이 있었다. ‘…아무나 될 수 없지만(이 치료제를 바르면 가능하다)’이 아닌 ‘(공주는) 아무나 될 수 있다’는 문장으로 끝난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해서는 안 되는 것이 방송”이란 금언에 익숙해서였을지 모른다.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지만 아무나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책’처럼 유사한 보기가 많았으니까.

‘아무(어떤 사람을 특별히 정하지 않고 이르는 인칭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누구’와 뜻 차이가 없이 쓰인다. ‘나, 라도와 같은 조사와 함께 쓰일 때는 긍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하기도 하는 게 ‘아무’이지만 ‘흔히 부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표준국어대사전)하기에 피부 치료제 광고가 낯설게 들린 것이다. <칼의 노래>를 쓴 김훈은 “‘버려진 섬마다 꽃이(은) 피었다’를 두고 이틀을 고민하다 ‘꽃은 피었다’로 결론 내렸다. ‘-이’는 사실을 진술한 문장, ‘-은’은 주관적인 ‘그만이 아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술회했다. 같은 듯 비슷한 표현도 상황에 맞춰 제대로 쓰는 게 바른 말글살이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65
3370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060
336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067
3368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067
3367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071
336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075
3365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077
3364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079
3363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080
3362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80
336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081
3360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082
3359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082
3358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082
3357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082
3356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085
3355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086
3354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087
3353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087
335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89
335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090
3350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090
3349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