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2.11 11:31

자잘못을 가리다

조회 수 2588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자잘못을 가리다

  싸우거나 다퉈서 분쟁이 일어났을 때 종종 쓰이는 표현 가운데 하나가 ‘자잘못’이다. “이번 사고의 자잘못을 철저히 따져 보자” “친구가 잘못한 건지, 제가 잘못한 건지 자잘못을 가려 주세요” “그 어느 쪽의 자잘못을 가리고 탓할 안목이 내겐 없다” 등등.이렇게 억울한 일이 있을 때 잘하고 잘못한 것을 가려 달라는 의미로 “자잘못을 따지다” 또는 “자잘못을 가리다”는 형태로 표현하곤 한다.

 그러나 ‘잘함과 잘못함’의 의미로 이처럼 쓰이는 ‘자잘못’은 바르지 못한 표현으로 ‘잘잘못’이라 해야 한다. “누가 잘하고 잘못했는지 잘잘못을 확실히 하자” “정책의 잘잘못을 짚어 줄 참모가 필요하다” “지금은 잘잘못을 따질 때가 아니다”와 같이 쓸 수 있다.

 ‘잘잘못’보다 ‘자잘못’이 발음이 편리하기 때문에 많이 쓰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잘잘못’이 ‘잘(함)+잘못’의 구조로 ‘잘함’과 ‘잘못함’의 결합이라는 사실을 떠올리면 바른 표현이 ‘잘잘못’이라는 것을 기억하기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71
341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04
3413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805
3412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807
3411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830
3410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838
3409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846
3408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877
3407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893
3406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896
3405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899
340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903
3403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936
3402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941
340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942
3400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946
3399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954
3398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風文 2022.10.06 957
3397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969
3396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971
3395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972
339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75
3393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9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