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21 15:14

일절과 일체

조회 수 1538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일절과 일체

“하루에 한 갑을 피우던 사람이 1월 1일을 기해 담배를 ‘一切’ 끊을 수는 없습니다!” 신년 계획이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으려면 평소 습관을 급격히 변화시킨다든지 현실성 없는 계획을 세워선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 전문가가 언급한 ‘一切’이란 말은 ‘일체’로 읽어야 할까, ‘일절’로 읽어야 할까? ‘一切’의 ‘切’은 ‘온통 체’로도 쓰고 ‘끊을 절’로도 쓰는데, 이때는 ‘일절’이라 해야 맞다.
‘일체’는 모든 것을 뜻하는 명사고, ‘일절’은 아주·전혀·절대로를 뜻하는 부사다. “사원들의 금연 캠페인에 필요한 일체의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한다” “몇 해 전부터 공공장소에서 흡연이 일절 금지됐다”처럼 사용한다. 모든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하고,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전혀 피울 수 없다는 의미로 쓰였다. 두 단어를 바꿔 쓰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술집 등에서도 “안주 일절” “주류 일절”이라고 붙여 놓은 걸 자주 볼 수 있는데 손님이 주문할 만한 안주와 술 종류가 다 있다는 의미이므로 “안주 일체” “주류 일체”라고 해야 바르다. ‘일절’은 않다·없다 등 부정어와 호응해 사물을 부인하거나 행위를 금지할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51
2996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811
2995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807
2994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00
2993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93
2992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78
2991 활개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12777
2990 호나우두(Ronaldo)와 호날두(Ronaldo) 바람의종 2010.02.28 12763
2989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744
2988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743
2987 선례, 전례 바람의종 2010.07.17 12741
2986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727
2985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19
2984 벗기다 / 베끼다 바람의종 2012.07.06 12711
2983 ‘ㄱ’과 ‘ㅂ’ 뒤의 된소리 바람의종 2010.05.17 12705
2982 스끼다시 바람의종 2008.02.16 12704
2981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688
2980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685
2979 '같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3 12684
2978 대수롭다 風磬 2006.11.06 12683
2977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676
2976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671
2975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6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