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70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수많은 사람 중에 그녀밖에 안 보이고, 멀리서도 그녀의 목소리만 들리고, 김태희보다 그녀가 더 사랑스럽다고 한다면? 그의 눈엔 콩깍지가 씐 걸까, 쓰인 걸까, 씌운 걸까.
 ‘콩깍지가 쓰인’ ‘콩깍지가 씌운’이라고 표현해선 안 된다. “그의 눈에 콩깍지가 씐 거군요”라고 답해야 어법에 맞다.이때의 ‘씌다’는 ‘쓰이다’나 ‘씌우다’의 준말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하나의 자동사다. “술을 마시면 이성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콩깍지가 쓰인다(씌운다)’는 속설은 사실일까?”와 같이 표현하는 건 잘못이다. ‘씐다’로 고쳐야 한다. ‘씌고/씌니/씌면/씌어서’처럼 활용된다. 불필요한 ‘-이-’를 넣어 ‘씌인/씌이다/씌였다’로 활용하는 사람도 많지만 기본형이 ‘씌다’이므로 ‘씐/씌다/씌었다’로 사용하는 게 바르다.
 ‘눈에 콩깍지가 씌다’ 대신 ‘눈에 콩 꺼풀이 씌다’고 표현해도 무방하다. ‘콩 꺼풀’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 콩깍지든 콩 꺼풀이든 앞이 가려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하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동사는 ‘씌다’이다.
  귀신 따위에 접하게 되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씌다’를 쓴다. “귀신이 쓰였다(씌웠다)”처럼 활용해선 안 된다. ‘씌었다’로 바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98
2974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278
2973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762
2972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227
2971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23
2970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38
»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701
2968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07
2967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21
2966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43
2965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37
2964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04
2963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32
2962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16
2961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28
2960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359
2959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312
2958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115
2957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385
2956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28
2955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42
2954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5981
2953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4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