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01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행상을 한 할머니는 철수가 바르게 클 수 있도록 궂은일도 마다 않고 뒷바라지를 했다.”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누군가 먼 길을 마다 않고 한달음에 달려와 자기 일처럼 해주면 얼마나 좋겠는가.”

눈에 자주 띄는 예문이다. 여기서 ‘마다 않고’의 ‘마다’는 ‘마다하다’의 어근이다. ‘마다하다’는 ‘거절하거나 싫다고 하다’를 뜻한다. 어근은 단어를 분석할 때 필요한 개념이다. 용언으로서 단어가 문장에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어근만 가지고선 안 된다. 따라서 ‘마다하지 않고’로 적어야 옳다.

인터넷상의 축약된 언어가 일상 언어에 영향을 미쳐서인지 이처럼 줄여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턱대고 말을 잘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바깥의 소란에도 아랑곳 않고 영자는 고개를 숙인 채 일에 열중했다”의 ‘아랑곳 않고’는 어떨까. 여기서도 ‘아랑곳하지 않고’로 쓰는 것이 바른 용법이다. 그러나 ‘아랑곳 않고’는 허용될 만하다. ‘마다’와 달리 ‘아랑곳’은 ‘일에 나서서 참견하거나 관심을 두는 일’이란 뜻의 명사다. 또 “그녀는 그 젊은이의 반응 따위는 아랑곳을 않으려는 투였다”처럼 ‘아랑곳’ 뒤에 ‘을’이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못하다, 머지않다, 못지않다’처럼 한 단어로 인정받았으면 모를까 ‘마다않다’는 아직 허용되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82
2974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17
2973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097
2972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601
2971 진이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30 14535
2970 진안주 바람의종 2010.10.30 14113
2969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86
2968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19959
2967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394
2966 진력나다, 진력내다 바람의종 2011.12.28 13403
2965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605
2964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22
2963 진, 데님 바람의종 2010.05.07 10542
2962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213
2961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19
2960 직성이 풀리다 바람의종 2008.01.30 14994
2959 직빵, 약방문 바람의종 2011.12.13 10725
2958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15
2957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895
295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729
2955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120
2954 지프와 바바리 바람의종 2008.04.19 8650
2953 지천에 폈다 바람의종 2011.11.16 104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