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00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행상을 한 할머니는 철수가 바르게 클 수 있도록 궂은일도 마다 않고 뒷바라지를 했다.”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누군가 먼 길을 마다 않고 한달음에 달려와 자기 일처럼 해주면 얼마나 좋겠는가.”

눈에 자주 띄는 예문이다. 여기서 ‘마다 않고’의 ‘마다’는 ‘마다하다’의 어근이다. ‘마다하다’는 ‘거절하거나 싫다고 하다’를 뜻한다. 어근은 단어를 분석할 때 필요한 개념이다. 용언으로서 단어가 문장에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어근만 가지고선 안 된다. 따라서 ‘마다하지 않고’로 적어야 옳다.

인터넷상의 축약된 언어가 일상 언어에 영향을 미쳐서인지 이처럼 줄여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턱대고 말을 잘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바깥의 소란에도 아랑곳 않고 영자는 고개를 숙인 채 일에 열중했다”의 ‘아랑곳 않고’는 어떨까. 여기서도 ‘아랑곳하지 않고’로 쓰는 것이 바른 용법이다. 그러나 ‘아랑곳 않고’는 허용될 만하다. ‘마다’와 달리 ‘아랑곳’은 ‘일에 나서서 참견하거나 관심을 두는 일’이란 뜻의 명사다. 또 “그녀는 그 젊은이의 반응 따위는 아랑곳을 않으려는 투였다”처럼 ‘아랑곳’ 뒤에 ‘을’이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못하다, 머지않다, 못지않다’처럼 한 단어로 인정받았으면 모를까 ‘마다않다’는 아직 허용되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40
2974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76
2973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23
2972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71
297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14
2970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214
2969 바람의종 2008.09.06 5440
2968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66
2967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705
2966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92
2965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15
2964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87
2963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11
2962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99
2961 바람의종 2008.09.19 7452
2960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13
2959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84
2958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70
2957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923
2956 바람의종 2008.09.26 5214
2955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907
2954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645
2953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