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27 09:47

눈발, 빗발, 화장발

조회 수 904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눈발, 빗발, 화장발

겨울 산은 조용하다. 물안개와 찬바람이 만들어 내는 세상도 일품이지만 산자락을 타고 흐르는 기운엔 청아함이 숨어 있다. 산사람의 대화에도 공부가 있다.

사람1 : “나뭇가지에 얼음꽃이 피었다. 서릿발인가?”
사람2 : “상고대라 부른다. 서릿발은 땅 표면에 얼어붙은 결을 말한다.”

‘서릿발’을 놓고 두 사람 사이에 오간 정담이 흥미를 끌지만 용어에서 뭔가 힘이 느껴진다. 접미사 ‘-발’의 쓰임 때문이다. ㉮‘빗발·눈발·햇발’과 ㉯‘글발·약발·화장발’에 들어 있는 ‘-발’은 형태는 같으나 성격이 다르다.

㉮의 ‘-발’은 ‘현상으로 볼 수 있는, 죽죽 내뻗는 줄이나 줄기’의 모양을 나타낸다. 화가가 그린 빗줄기나 햇살 그림의 직진성 붓발에서 구체성을 알 수 있다.

㉯의 ‘-발’은 몇몇 명사 뒤에 붙어 힘이나 기세를 강조할 때 쓴다. 추상성이 있어 결합된 단어나 문장의 어감을 증폭시키고 ‘효과’의 뜻을 더한다. 힘을 잘못 써 된소리(-빨)로 적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예문으로 “약발이 뻗쳐 잠을 못 이룰 지경이다” “화장발이 고르지 않은 걸 보니 봄을 타는 모양이다”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115
2974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685
297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666
2972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50
2971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625
2970 코펠 바람의종 2010.03.03 12618
2969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608
2968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바람의종 2008.09.27 12601
2967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83
2966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76
2965 좌우하다와 좌지우지하다 바람의종 2010.11.10 12575
2964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74
2963 눈꼬리와 눈초리 바람의종 2010.10.13 12574
2962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567
2961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63
2960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562
2959 곤죽 風磬 2006.09.29 12556
2958 네가지, 싸가지 바람의종 2012.04.19 12550
2957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547
2956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546
2955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542
2954 들통나다 바람의종 2008.01.02 12542
2953 의사, 열사, 지사 바람의종 2010.07.12 125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