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174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일찍이 최승자 시인은 노래했다. “일찌기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다”라고…. 1981년 펴낸 시집 『이 시대의 사랑』에 실린 ‘일찌기 나는’이란 시의 첫 구절은 이렇게 시작된다.

예전의 인쇄물을 보면 ‘일찌기’라는 표기가 눈에 많이 띈다. 하지만 현재의 맞춤법 규정엔 ‘일찍이’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1988년 맞춤법이 개정되면서 ‘일찍이’로 쓰도록 했기 때문이다. 발음 습관에 따라, 혹은 감정적 의미를 더하기 위해 독립적인 부사 형태에 ‘-이’가 결합된 경우엔 그 부사의 원형을 밝혀 적도록 하고 있다.

‘일정한 시간보다 이르게, 예전에’라는 뜻의 ‘일찍이’는 부사 ‘일찍’에 ‘-이’가 붙은 것이다. 맞춤법 개정 이전엔 ‘일찌기’가 표준말이어서 아직까지 혼동하는 사람이 많지만 “인상파 화가 세잔은 대상을 바라보며 그것을 있는 그대로 그린다는 게 불가능하다는 걸 일찍이 깨달았다”처럼 써야 한다.

‘그러한 데다가 더’란 뜻의 ‘더욱이’도 마찬가지다. 전에는 ‘더우기’로 적었지만 지금은 원형을 밝힌 ‘더욱이’가 바른말이다. ‘오뚝이, 곰곰이, 생긋이, 해죽이’ 등이 모두 그러한 예로 표기에 주의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9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406
2974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678
297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661
2972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32
2971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625
2970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608
2969 코펠 바람의종 2010.03.03 12604
2968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바람의종 2008.09.27 12601
2967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80
2966 좌우하다와 좌지우지하다 바람의종 2010.11.10 12575
2965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75
2964 눈꼬리와 눈초리 바람의종 2010.10.13 12573
2963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71
2962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63
2961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560
2960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553
2959 네가지, 싸가지 바람의종 2012.04.19 12550
2958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546
2957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542
2956 곤죽 風磬 2006.09.29 12539
2955 들통나다 바람의종 2008.01.02 12539
2954 의사, 열사, 지사 바람의종 2010.07.12 12538
2953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