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13 14:53

그림의 떡, 그림에 떡

조회 수 1731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그림의 떡, 그림에 떡

아래 문장에서 틀린 표현을 고르시오.

㉮ “무일푼인 우리에게 진열장에 놓인 만두는 그림에 떡이었다.”
㉯ “그는 무슨 일이든 언제나 발등의 불이 떨어져야 시작한다.”
㉰ “훨씬 나이가 어린 정규직 행원들 월급의 반에반도 안 되는 적은 돈이었다.”

㉮㉯㉰에서 쓰인 ‘그림에 떡’ ‘발등의 불’ ‘반에반’은 모두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그림의 떡’ ‘발등에 불’ ‘반의반’처럼 써야 한다.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이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로는 ‘그림의 떡’이 올바른 표현이다. “목표가 좋아도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면 그야말로 그림의 떡이다”처럼 쓴다. 북한에선 ‘그림의 선녀’라고 한다.

‘일이 몹시 절박하게 닥치다’의 의미로는 ‘발등에 불이 떨어지다(붙다)’라고 한다. “옷에 먼지가 묻다”처럼 이때의 ‘-에’는 앞말이 처소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조사로 쓰였다. ‘눈앞에 닥친 절박한 일이나 어려운 일을 처리하거나 해결하다’는 의미일 때는 ‘발등의 불을 끄다’라고 한다.

‘절반의 절반’을 얘기할 때는 ‘반의반’이라고 써야 한다. ‘반의반’은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그 일은 아직 반의반도 못 끝냈다”처럼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12
2952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41
2951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75
2950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127
2949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79
2948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76
2947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25
2946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01
2945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414
2944 지슬 風文 2020.04.29 1387
2943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0
294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02
2941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489
2940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63
2939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29
2938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589
2937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72
2936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30
2935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905
2934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09
2933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03
2932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409
2931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4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