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82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영화 '친구'에서 장동건이 한 대사 중에 "내가 니 시다바리가?" "니가 가라, 하와이" 등은 당시 유행어가 될 정도로 회자되곤 했다. 여기서 문제 하나. "녀석은 흑곰파의 막내 시다바리였다" "여기는 조선 땅이야. 너희들 나와바리가 아니야" (이환경 '야인시대'), "울릉도의 특산품으로는 호박엿과 당일바리 오징어가 있다"에서 쓰인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는 모두 일본말에서 온 것일까. 정답은 '아니다'이다. 모두 다 일본말은 아니다. '시다바리'는 '아랫사람, 부하, 조수', '나와바리'는 '구역, 세력 범위'를 뜻하는 일본말이지만 '당일바리'의 '바리'는 우리말이다.

'바리'란 "해마다 몇씩은 잡아다가 주리를 틀었고 그럴 때마다 돈 바리와 쌀 짐이 들어왔었다" '마소의 등에 잔뜩 실은 짐 또는 그 짐을 세는 단위'를 의미하거나 '놋쇠로 만든 밥그릇'을 뜻하기도 한다. '바리'는 '바로, 즉시'라는 의미로 쓰이는 경상도.함경도 지방의 방언이기도 하다.

"백화점들이 명절을 맞아 자연산 전복과 당일바리 옥돔으로 구성된 명품 선물세트를 내놓았다" "반건조 오징어는 당일바리만 쓴다"에서 '당일바리'는 '그날 바로 잡은 고기(오징어)'를 뜻한다. 여러 지역에서 많이 쓰이고 있지만 아직 표준어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아이들의 밥을 담은 작은 밥 바리를 '애기바리'라 부른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4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1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800
2864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63
286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407
2862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24
2861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61
2860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27
2859 유월, 육월, 오뉴월 바람의종 2012.04.23 13873
2858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74
2857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바람의종 2012.04.23 15539
2856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78
2855 비속어 바람의종 2012.03.05 11489
2854 배부, 배포 바람의종 2012.03.05 19376
»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827
2852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64
2851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21
2850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6
2849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55
2848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68
2847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926
284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9
284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71
2844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66
2843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