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421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프랜시스 베이컨이 외쳤던가.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동양인은 일갈한다. "아는 것이 병이다"라고. 여기서도 동서양 사유(思惟)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아는/안다는 것'은 지식을 말한다. 지식을 순 우리말로 하면 '앎'이다. '앎'은 동사 '알다'의 명사다. 원래는 명사형이었을 것이나 완전히 명사로 바뀐 것이다. 이런 낱말을 전성명사(轉成名詞)라고 한다. '살다'의 '삶'도 마찬가지다.

'알다' '살다'처럼 ㄹ불규칙활용을 따르는 낱말들, 예컨대 '거칠다, 둥글다, 만들다, 베풀다' 등의 명사형을 만들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앎'과 '삶'처럼 어간의 ㄹ을 살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지 않고 바로 ㅁ을 붙인 '거침, 둥금, 만듬, 베품' 등은 틀린 표기다. '거, 둥, 만듦, 베풂' 등으로 적어야 바르다.

'알다'에서 온 명사가 '앎' 말고 또 하나 있다. '알음'이다. 이것도 '갈음, 기쁨, 얼음, 울음, 웃음' 등과 같이 완전히 명사가 된 것이다. '알음'은 '사람끼리 서로 아는 일/지식이나 지혜가 있음/어떤 사정이나 수고에 대하여 알아주는 것' 등을 뜻한다.

'앎'과 '알음'은 모두 '알다'에서 나온 명사지만, 그 의미는 서로 다르다. '앎'은 지식(知識)을, '알음'은 면식(面識).안면(顔面)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차이는 '아는 체하다'와 '알은체하다'에서도 나타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59
3414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912
3413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334
3412 '-시키다’ 風文 2023.12.22 1363
3411 '-적' 없애야 말 된다 (14) 종합적 바람의종 2008.03.08 12430
3410 '-화하다' / '-화시키다' 바람의종 2009.08.29 17993
3409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500
3408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01
3407 'ㅣ'모음 역행동화 바람의종 2008.11.14 7001
3406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008
3405 '같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3 12628
3404 '구정'은 일본식 표기 바람의종 2012.09.13 11740
3403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74
3402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646
3401 '꾀임'에 당하다 바람의종 2011.11.28 8859
3400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600
3399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241
3398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556
3397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535
3396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627
3395 '돋구다'와 '돋우다' 바람의종 2008.06.12 9710
3394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519
3393 '막'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2 117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