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43 추천 수 4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스페인의 국민가수 훌리오 이글레시아스는 교통사고로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기 전까진 레알 마드리드의 골키퍼였다. 갓 스물의 그는 모든 게 끝났다고 절망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생각이 달랐다. "그래도 인생은 계속된다"고 격려하며 매일같이 아들의 병상을 지켰다. 그리고 5년 뒤, 이글레시아스는 다시 걷게 됐을 뿐 아니라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가수로 거듭났다.

긴병에 효자 없다는 말도 있듯이 오랜 병시중은 누구나 지치게 하지만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이 또한 무색하게 만든다는 걸 보여 주는 일화다. 이처럼 병을 앓거나 다친 사람을 곁에서 돌보는 일을 병구환.간병.병간호 등 다양한 말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엔 주의해야 할 표현이 있다. 흔히 ''병구환''으로 알고 사용하고 있지만 ''병구완''이 바른 표기다. ''구완''이 ''구환(救患)''에서 온 말이긴 하나 원말에서 변한 형태의 ''구완''을 표준어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병구완에 필요한 의료 지식을 습득해 간호사가 되려던 나이팅게일의 뜻은 가족들의 심한 반대에 부딪혔다"와 같이 써야 한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들의 간병 문제가 새로운 사회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처럼 ''간병(看病)''도 거리낌 없이 사용하고 있지만 일본어의 잔재로 병간호.병구완 등으로 순화해 쓰는 게 좋다. 비슷한 뜻으로 ''고수련''이란 예쁜 우리말도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08
2974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625
2973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20
2972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바람의종 2008.09.27 12598
2971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588
2970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587
296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578
2968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75
2967 좌우하다와 좌지우지하다 바람의종 2010.11.10 12574
2966 눈꼬리와 눈초리 바람의종 2010.10.13 12569
2965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68
2964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55
2963 코펠 바람의종 2010.03.03 12554
2962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51
2961 네가지, 싸가지 바람의종 2012.04.19 12550
»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543
2959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540
2958 의사, 열사, 지사 바람의종 2010.07.12 12538
2957 들통나다 바람의종 2008.01.02 12534
2956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25
2955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518
2954 쑥맥, 쑥, 숙맥 바람의종 2010.07.23 12515
2953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