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36 추천 수 4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사랑의 아픔은 누구나 한 번은 겪는 일이다." "한 번에 일을 끝내기는 힘들다." "이 문제를 한번 잘 생각해 봐.""기회가 되면 한번 식사나 합시다."

'한 번'과 '한번'은 같은 글자로 돼 있지만 어떤 때는 '한 번'이라 띄어 쓰고, 어떤 때는 '한번'이라 붙여 쓴다. 많은 사람이 어떤 경우에 띄어 쓰고 붙여 쓰는지 정확히 구분하지 못한다. 띄어 쓴 '한 번'은 두 번이나 세 번이 아닌 '1회'라는 뜻이다. 반면 붙여 쓴 '한번'은 '어떤 일을 시험 삼아 시도하다(한번 해 보다), 기회 있는 어떤 때(집에 한번 놀러오세요), 지난 어느 때나 기회(한번은 그런 일도 있었지),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춤 한번 잘 춘다)'에 쓰인다. 즉 '1회'라는 뜻이면 '한'과 '번'이 두 단어이고, 합쳐져 새로운 의미가 되면 한 단어다. 따라서 '1회'라는 뜻일 때만 띄어 쓴다고 생각하면 쉽다.

'큰 소리/ 큰소리(과장), 큰 집/ 큰집(종가)' 등도 의미에 따라 띄어쓰기를 달리하는 경우다. 또 '파란색'은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쓰지만 "너무 파란 색은 오히려 탁해 보인다"에서는 띄어 써야 한다. 바로 앞에 있는 '너무'가 '파란'을 꾸미고 있기 때문이다. 붙여 쓰면 '너무'가 '파란색'을 꾸미게 돼 문법적으로 맞지 않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80
3282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314
328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827
328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2158
327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649
327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766
3277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7128
3276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341
3275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366
327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799
3273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77
327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649
327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8046
3270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7076
326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600
326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086
3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610
326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409
3265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809
326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523
326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821
3262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626
3261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8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