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19 17:03

한식 요리 띄어쓰기

조회 수 14343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식 요리 띄어쓰기

김치.비빔밥 등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 속으로 파고든 한식 요리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식은 기본이 되는 밥.국.김치 외에 조리 방법에 따라 각종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찌개.전골.전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쌀밥.미역국.배추김치/ 시금치무침.생선구이.야채볶음.갈비찜.새우튀김.갈치조림/ 김치찌개.버섯전골.호박전' 등 그 재료가 조리법 앞에 붙어 요리 이름이 된다. 요리 이름 뒤에 붙는 조리법은 독립적인 한 단어다. 그러므로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 요리 재료들과 조리법은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음식 이름이 될 때는 대부분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 조리법 중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의 경우 음식을 뜻할 때는 붙여 쓰라고 돼 있지만, 국.찌개.전골.전 등에는 이러한 언급이 없다. 이 경우 사전에 없는 단어는 띄어 써야 하나, 붙여 써야 하나? 예를 들면 소고기로 끓인 국을 '쇠고깃국/ 쇠고기 국' 중 어떤 표기가 옳은가? 또 사전에 한 단어로 돼 있지 않은 '야채 찌개, 김치 전골, 버섯 전, 쇠고기 산적, 김치 부침개, 오징어 데침, 두부 지짐이' 등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사전에서 요리에 관한 통일된 띄어쓰기 원칙이 아쉽다.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479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142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6123
    read more
  4. 이녁

    Date2007.03.15 By바람의종 Views14218
    Read More
  5. 바투

    Date2010.11.10 By바람의종 Views14209
    Read More
  6. 우려먹다(울궈먹다)

    Date2007.03.03 By바람의종 Views14207
    Read More
  7. 동티가 나다

    Date2007.12.31 By바람의종 Views14199
    Read More
  8.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14196
    Read More
  9. 학부모 / 학부형

    Date2010.09.29 By바람의종 Views14187
    Read More
  10. 진안주

    Date2010.10.30 By바람의종 Views14179
    Read More
  11. 절이다, 저리다

    Date2010.04.30 By바람의종 Views14158
    Read More
  12.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Date2010.01.18 By바람의종 Views14146
    Read More
  13. 늘상, 노상, 천상, 천생

    Date2009.11.03 By바람의종 Views14143
    Read More
  14. 자문을 구하다?

    Date2010.05.05 By바람의종 Views14130
    Read More
  15. 여보

    Date2010.07.05 By바람의종 Views14110
    Read More
  16. 폭발, 폭팔, 폭파시키다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14107
    Read More
  17. 도매급으로 넘기다

    Date2010.04.24 By바람의종 Views14095
    Read More
  18. 응큼, 엉큼, 앙큼

    Date2010.01.14 By바람의종 Views14073
    Read More
  19.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Date2008.12.15 By바람의종 Views14063
    Read More
  20. 참고와 참조

    Date2010.08.03 By바람의종 Views14056
    Read More
  21.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Date2012.09.27 By바람의종 Views14045
    Read More
  22.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Date2012.07.27 By바람의종 Views14032
    Read More
  23. 토를 달다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14020
    Read More
  24. 충돌과 추돌

    Date2012.11.22 By바람의종 Views14016
    Read More
  25. 희쭈그리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1401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