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07 15:16

휘발성

조회 수 14770 추천 수 3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휘발성

"하지만 (한.일 관계는) 교과서 왜곡과 독도를 둘러싼 해양조사, 북한 미사일 사태와 유엔 대북 결의안 채택 등 휘발성 높은 사안이 겹쳤고, 결국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강행으로 마지막까지 냉기류를 걷어내지 못했다."

 사전을 찾아보면 '휘발'은 '보통 온도에서 액체가 기체로 되어 날아 흩어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휘발성(揮發性)'은 그런 성질을 말한다. 이런 성질을 가진 물질로 휘발유가 있다. 또한 휘발유는 불이 매우 잘 붙는 성질도 있다. 예문에서 '휘발성이 높은'은 어떤 의미로 쓰였는가. 사전상의 의미를 토대로 하면 '휘발성 높은 사안'은 '금방 사라져 버리기 쉬운 사안'이란 뜻이 된다. 이것은 예문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뜻과 반대되는 의미가 되고 만다. 따라서 '휘발성'보다는 '불이 잘 붙는 성질'을 뜻하는 '인화성(引火性)'이나 '폭발할 수 있는 성질'인 '폭발성(爆發性)'이 더 낫지 않을까. 건드릴수록 문제가 커지는 '인화성이 강한' 또는 '폭발성이 큰'으로 표현해야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말이다.

 다음 문장과 앞 예문을 견주어 보면 이런 차이를 금방 알 수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은 동북아 역사 문제가 얼마나 인화성이 강한 사안인가를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05
319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093
319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63
3192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47
3191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30
3190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71
3189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46
3188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70
318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14
3186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395
3185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42
3184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72
3183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08
3182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55
3181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81
3180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60
3179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384
3178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56
317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58
3176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02
317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646
317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51
3173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