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8 12:37

하여, 하였다

조회 수 9466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여, 하였다

유길준이 '서유견문' 서문에서 언문일치를 주장한 이래 꾸준한 운동으로 지금은 문어체와 구어(입말)체가 별반 차이가 없어졌다. 그러나 유독 아직까지 말과 글이 뚜렷하게 차이 나는 것이 '하여'와 '하였다'다. 법률.공문서는 물론 '현 상황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하여야 할지 논의하였다'처럼 일반 글에서도 '하여' '하였다'가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없다. 현재는 그 준말인 '해' '했다'가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다. '하여' '하였다'는 말이 늘어짐으로써 읽는 사람을 따분하게 만든다. 특히 학교에서 초등 교과서는 물론 대학의 논문에 이르기까지 '하여' '하였다'를 사용하고 있다. '하여' '하였다'가 글에 무게를 주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듯하나 이는 시대에 뒤떨어진 고리타분한 표현이다. 문장에서 '해'가 반복될 때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하여'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기는 하나 '하여' '하였다'만 고집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주로 학자들이 이런 표현을 애용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73
3260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78
3259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79
3258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479
3257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79
325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79
3255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82
3254 지슬 風文 2020.04.29 1484
3253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484
3252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486
3251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486
3250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7
3249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488
3248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493
3247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493
3246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494
3245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495
3244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496
3243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496
3242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498
3241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498
3240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00
3239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