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36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친숙한 외래어 또는 외국어인데도 한글로 옮길 때 잘못 쓰기 쉬운 단어들이 있다. 오늘은 그런 사례들을 몇 개 살펴보자. 제2차 세계대전 후 정치체제가 안정되지 못한 신생국들에는 군사정변이 잦았다. 특히 1950, 60년대 아직 민주주의가 정착하지 못한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서 이런 사태가 빈발했다. 58년 파키스탄의 아유브 칸 정권, 62년 버마의 네윈 정권, 65년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정권 등이 아시아에서 군사정변을 통해 집권한 대표적 사례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몇 차례 정변을 겪었다. 이런 군사정변을 일컬어 '쿠테타'라고 표기하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쿠테타가 아니라 쿠데타(coup d'tat)가 바른 한글 표기다. 이것은 프랑스어에서 온 단어다.

군사정변 뉴스에서 탱크와 함께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사람들이 다니지 못하게 막아놓는 통행 차단물이다. 방책(防柵)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바리케이트'라고 쓰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지만 바리케이드(barricade)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이것과 뒷부분의 발음이 유사해서 그런지 포장마차에서 불을 밝히거나 감에서 떫은맛을 제거하는 데 많이 썼던 카바이드(carbide·탄화칼슘)도 '카바이트'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적지 않다. 군사정변에는 총과 칼이 동원되지만, 질병과 싸우는 병원에서는 약과 주사를 쓴다. 주사에 사용되는, 총알처럼 생긴 일회용 주사액 병을 흔히 '앰플'이라고 표기하는데 앰풀(ampoule)이 옳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7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55
312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00
3127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63
3126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520
3125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93
3124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03
3123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201
3122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33
3121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690
312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77
3119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10
3118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01
3117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83
3116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097
3115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14
3114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728
3113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450
3112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57
3111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57
311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90
3109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12
3108 갑질 風文 2024.03.27 1600
3107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9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