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8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회사 주변 식당 중에는 식사 후 더러 구수한 숭늉과 함께 눌은밥을 내오는 곳이 있다. 비록 예전의 가마솥에서 생기는 누룽지로 만든 눌은밥과는 비교가 되지 않지만 구수하고 부드러운 그 맛이 그리워 많은 이가 즐겨 찾는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눌은밥을 누룽지와 혼동해 '아주머니, 누룽지 주세요. 따끈한 숭늉 좀 마시게'라고 말한다. 또한 누룽지를 눌은밥이라고 말하는 이도 적지 않다. 그러나 눌은밥과 누룽지는 분명 의미가 다른 말이다. 누룽지는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뜻하고, 눌은밥은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말한다. 이렇듯 뜻이 다른데 사람들은 누룽지를 눌은밥과 같은 말이거나 사투리로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것 같다. 간혹 그 구분을 제대로 하는 사람 중에도 눌은밥을 '누른밥'으로 쓰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는 눌은밥의 발음이 [누른밥]으로 나기 때문인 듯하다. '누룽지가 밥솥 바닥에 눌러붙어 떨어지지 않는다'처럼 '눌어붙다'를 '눌러붙다'로 쓰는 사람이 있는데 이 또한 잘못이다. 두 단어의 원형을 살펴보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눌은밥'과 '눌어붙다'는 동사 '눋다'에서 생겨난 말이다. '눋다'는 '누런빛이 나도록 조금 타다'라는 뜻으로, '밥이 눌어 누룽지가 되었다'처럼 'ㄷ'불규칙 활용을 해 '눌은, 눌어, 눌으니, 눌으면' 등으로 쓰인다. 요즘처럼 전기밥솥으로 밥을 하면 밥이 되거나 설지언정 타지는 않는다. 그러나 누룽지가 생기지 않아 물을 붓고 푹 끓인 구수한 눌은밥을 만들어 먹을 수가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1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7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414
317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94
3171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713
3170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915
316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206
3168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206
316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465
31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435
316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831
3164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162
316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794
3162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382
3161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75
3160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820
3159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303
3158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7070
3157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900
3156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529
315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69
3154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739
3153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37
315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730
3151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6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