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74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는 가사의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혼이 담긴 전래 민요다. 여기에 나오는 '10리'는 몇 ㎞일까? 옛날 학교나 장터 등 보통 5리, 10리는 그냥 걸어다녔다. 그 거리를 생각하면 10리는 약 4㎞가 맞다. '10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는 얼마 못 가서 발병 난다는 뜻으로, 10리가 40㎞라면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다. 그러나 수첩이나 인터넷의 도량형환산표에는 1리가 약 4㎞(10리는 40㎞)라고 나와 있다. 정부 부서에 문의했더니 이게 맞다고 한다. 리(里)는 척관법의 하나다. 척관법은 길이의 기본단위로 자 또는 척(尺), 무게의 기본단위로 관(貫)을 쓰는 것이다. 시대마다 기준이 달라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비슷했다. 1902년에는 미터법과 일본의 도량형 제도로 개정되면서 일본의 곡척(曲尺)이 척도의 기본이 됐다. 이때도 큰 차이 없이 10리는 약 4㎞다. 1961년에야 국제기준에 따라 새 미터법을 채택하게 된다. 하지만 1리가 약 3.9㎞로 정해짐으로써 10리는 약 40㎞가 된다. 이전과 열 배 차이가 난다. 속사정은 알 수 없지만 '10리=약 40km'는 문제가 있다. 사전에도 아직 1리는 약 0.4km라고 돼 있다. 10리를 4㎞로 보는 게 옳다. 그래야 '아리랑'의 '십리', '삼천리 금수강산'의 '삼천리'가 성립한다. 이제 '리'는 쓸 필요가 없으므로 문제없다고 하지만, 어디 그런가. '아리랑'과 마찬가지로 '리'에도 우리의 정서가 배어 있는 게 아닌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48
3194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77
3193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79
3192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680
3191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680
3190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693
3189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693
3188 ○○노조 風文 2022.12.26 1701
3187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701
3186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707
3185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709
3184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711
3183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713
3182 '-시키다’ 風文 2023.12.22 1715
318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716
3180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717
3179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722
3178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722
317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722
3176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725
3175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725
3174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726
3173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7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