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3 03:34

피난, 피란

조회 수 1033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난, 피란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두 형제의 엇갈린 운명을 그린 전쟁영화. 1100만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한 한국 영화의 기념비적 흥행작 '태극기 휘날리며'가 있다. 집안의 희망이자 어머니의 꿈인 동생의 생존을 위해 형은 전쟁영웅을 자처한다. 이념보다 생존을 위해 처절하게 몸부림쳤던 두 형제의 파란만장한 이야기가 줄거리다. 영화 속에는 중공군의 개입으로 후퇴하는 장면에서 구름떼처럼 몰려드는 피란민이 등장한다.

'피난'과 '피란'은 어떻게 다를까. '피난(避難)'은 재난을 피하여 멀리 옮겨 가는 것을 말하고, '피란(避亂)'은 난리를 피하여 옮겨 간다는 뜻이다. '피란'은 전쟁에만 한정된 의미지만 '피난'은 '지진·홍수' 등의 재난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뜻을 지닌다. '태풍 '사라'가 강타하는 바람에 마을 사람들은 피난을 떠났다'와 같은 예문엔 '피난'은 쓸 수 있으나 '피란'은 쓸 수 없다. 그러나 '전쟁으로 마을 사람들은 피란(피난)을 떠났다'처럼 '전쟁'의 경우 국립국어연구원은 둘 다 인정하고 있다.

'피난민'은 재난을 피하여 가는 백성이란 의미로 '태풍 '매미'로 임시수용소는 피난민으로 가득 찼다'처럼 쓰인다. '피란민'은 난리를 피하여 가는 백성이란 뜻으로 '1·4후퇴 때 피란민들은 죽음을 무릅쓰고 남으로 가는 열차에 몸을 실었다'처럼 쓴다. 두 단어의 구분은 모호한 면도 있으므로 전쟁에는 '피란'으로, 그 외 천재지변 등에는 '피난'으로 구분해 표기하는 것이 합리적일 듯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31
3238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523
3237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26
323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528
3235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529
3234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29
3233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533
3232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34
3231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34
3230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35
3229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35
3228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37
3227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539
3226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40
3225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540
3224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41
3223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41
3222 순직 風文 2022.02.01 1544
3221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546
322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46
3219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46
3218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546
3217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5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