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6

학여울

조회 수 1061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학여울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란 노랫말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한 사람의 따뜻한 관심은 사회의 활력소로 작용합니다. 매미 소리에 녹음이 짙어갈 무렵 새 우리말 바루기'납량하는 사람들'(22회·8월 3일자)을 보고 50대 중반의 독자께서 관심을 가지고 질문하셨습니다. '납량→남냥''납양→나'의 발음에 더해 서울 지하철 역'학여울'의 발음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언뜻 보면'학여울'은 '납양→나'처럼 '하겨울'로 발음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표준어 규정에 '합성어 및 접두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이·야·여·요·유'인 경우에는'ㄴ'소리를 첨가하여 [니·냐·녀·뇨·뉴]로 발음한다'가 있습니다. 이 규정에 따르면 받침이 'ㄱ'인 말과 '이, 여'로 시작하는 말이 만나면 받침 'ㄱ'은 'ㅇ'으로 바뀌고 뒤 음절의 '이, 여'는 '니, 녀'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색연필[생년필], 늑막염[늑망념], 막일[망닐] 등이 그런 예입니다. 이는 물론 합성어나 접두파생어일 때만 일어나는 현상이지요. '합성어'란 둘 이상의 실질 형태소(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가 결합해 하나의 단어가 된 말입니다. '집안(집+안)' '돌다리(돌+다리)'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학여울'도 '학(鶴)'과'여울'의 합성어입니다. 이 때문에 위의 발음 규정에 따라'학여울'에'ㄴ'음이 첨가돼'학녀울'이 된 뒤, 여기에서 자음동화가 일어나'항녀울'이 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8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63
3260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41
3259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42
3258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443
3257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445
3256 까치발 風文 2023.11.20 1445
3255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449
3254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452
3253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452
3252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454
3251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456
3250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57
3249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458
3248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460
3247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460
3246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460
3245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462
3244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463
3243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465
3242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465
3241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467
3240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467
3239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4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