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3:58

쌓인, 싸인

조회 수 23171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쌓인, 싸인

'책을 쌓다'와 '책을 싸다'의 의미를 구별하기는 어렵지 않다. '쌓다'는 '여러 개의 물건을 겹겹이 포개어 얹어 놓다'라는 뜻이고 '싸다'는 '물건을 안에 넣고 씌워 가리거나 둘러 말다' 또는 '어떤 물체의 주위를 가리거나 막다'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 두 낱말 앞에 '둘러'를 붙여 '둘러쌓다' '둘러싸다'가 되면 잘못 쓰는 사람이 많이 생긴다. 특히 피동 형태로 쓸 때 틀리는 일이 흔하다.

하지만 '김장독을 비닐로 둘러싸다' '집 주위에 담을 둘러쌓다'에서 보듯이 '둘러'가 붙어도 원래의 '쌓다'와 '싸다'의 의미는 달라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문맥을 살펴서 '쌓다'와 '싸다' 중 어느 쪽인지 판단하면 된다.

'총선을 맞아 남한강으로 둘러쌓인 도담마을의 유권자들도 강을 건너가 주권을 행사했다.' '국회 소추인단의 한병채 변호사가 기자들에게 둘러쌓인 채 질문을 받고 있다.' 위의 예문을 간단하게 줄여 '쌓다'와 '싸다' 중 어느 쪽의 뜻인지 알아보자. '남한강이 도담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남한강이 도담마을을 쌓고 있다.' 전자가 바르다. '기자들이 한변호사를 (둘러)싸고 있다.' '기자들이 한변호사를 쌓고 있다.' 이 예문도 마찬가지로 전자가 옳다. 둘 다 '쌓다'로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이것을 피동 형태로 간단히 표현하면 '남한강에 둘러싸인 도담마을' '기자들에게 둘러싸인 한변호사'가 된다. 실제 생활에서 '둘러쌓인'보다는 '둘러싸인'을 써야 할 경우가 훨씬 많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590
3392 매무시 風磬 2006.11.26 7963
3391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143
3390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189
3389 무꾸리 風磬 2006.11.26 8086
3388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04
3387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565
3386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589
3385 (밤)참 風磬 2006.11.30 6295
3384 벽창호 風磬 2006.11.30 6090
3383 볼멘소리 風磬 2006.12.20 7051
3382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224
3381 부럼 風磬 2006.12.20 7177
338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479
3379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589
3378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591
3377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597
3376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7989
3375 불호령 風磬 2006.12.23 8904
3374 비지땀 風磬 2006.12.23 7300
3373 빈대떡 風磬 2006.12.23 7765
3372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066
3371 사또 風磬 2006.12.26 70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