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4

해거름, 고샅

조회 수 795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거름, 고샅

'계절의 변화가 놀랍습니다. 무서운 비바람이 우리를 긴장 속에 몰아넣는가 했더니 고개 숙인 벼가 넘실대는 벌판에서는 메뚜기떼가 야단입니다. 어릴 적 추억 하나가 떠오릅니다. 몽골몽골 피어오르는 굴뚝의 연기가 평화로운 해거름, 고샅에 나와 '저녁 먹어라'부르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개발 바람에 삶의 모양이 바뀌다 보니 잊혀 가는 말이 많습니다. 위 글에 나온 '해거름'과 '고샅'. 우리의 옛 정서를 담뿍 담은 고유어입니다. '해거름'은 줄여 '해름'이라고도 하는데, 해가 지기 바로 전의 시간대를 뜻하는 말로 한자어로는 '석양(夕陽)' 또는 '일모(日暮)'라고 표현합니다. 해가 완전히 지고 난 후의 땅거미 질 무렵인 '황혼 (黃昏) ·박야(薄夜)·석음(夕陰)·훈일(日)'보다는 조금 이른 시간을 말합니다.

정겨운 말 '고샅'은 '고샅에서 놀다 오너라' '큰길을 벗어나 어둠이 가득 괸 고불고불한 고샅으로 들다 보면 순간 무서운 생각이 엄습하곤 했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길'과 관계된 말입니다. 흔히 집 밖이나 마을 밖을 '고샅'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하게는 집의 담과 담 사이 골목길을 의미합니다. '고샅'을 소리나는 대로 적어 일부 지방에선 '고삿'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고삿'은 '초가 지붕을 일 때 쓰는 새끼'란 의미로 전혀 다른 말입니다.

참고로 표준어 규정을 만들기 전에는 이런 의미의 '고삿'과 좁은 길의 '고샅'을 구분하지 않고 '고샅'하나로만 표기해 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0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68
3326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159
3325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159
3324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159
3323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160
3322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160
3321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160
3320 '-시키다’ 風文 2023.12.22 1162
331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63
3318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164
3317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164
3316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164
331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166
331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167
3313 상석 風文 2023.12.05 1169
3312 내일러 風文 2024.01.03 1173
3311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175
3310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風文 2022.07.12 1176
3309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177
3308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177
3307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177
3306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180
3305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1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