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8

"-읍니다""-습니다"

조회 수 8563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읍니다""-습니다"

주변에서 '-읍니다'가 맞는지, '-습니다'가 맞는지 물어 오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우리말 바루기'에 관심을 보여 주시는 독자들의 e-메일에서도 '-읍니다'란 표현이 자주 눈에 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습니다'가 맞다. 1988년 어문 규범을 개정(시행은 89년 3월)하면서 '-읍니다'의 표기를 '-습니다'로 바꿨다. '-읍니다'로 적고 '-슴니다('습니다'의 발음)'로 읽는 불일치를 바로잡기 위해 '습니다'로 바꾼 것이다. 즉 '먹읍니다''있읍니다' 등으로 적던 것을 '먹습니다''있습니다' 등으로 표기하도록 했다.

그러나 명사형 어미 '-음'이 붙어 있는 '있음''없음' 등은 종전과 같이 그대로 표기하므로 '-음''-슴'에 대한 혼란도 생겼다. '-습니다'에 익숙한 학생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음'을 '있슴''없슴' 등으로 쓰는 예가 종종 있다.

90년대 이전에 교육을 마친 40대 이상 세대들은 표준어 규정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수십년간 손에 배고 눈에 익은 '-읍니다'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바뀐 규정을 일반인도 충분히 숙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계도하는 정부 당국의 노력이 부족했던 데에도 원인이 있다.

명사형은 '-음', 서술형은 '-습니다'라고 기억하면 된다. '-읍니다'는 이제 아련한 추억 속으로 묻어 두어야 한다.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36
26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522
25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40
24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13
2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395
22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432
2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321
20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437
19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310
18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49
17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263
16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351
15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56
14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07
13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400
1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226
11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281
10 갑질 風文 2024.03.27 1369
9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500
8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458
7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506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429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3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