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12 01:41

한량

조회 수 8404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량

  본뜻 : 조선 시대에 무과에 급제하지 못한 무반의 사람들을 가리키던 말이었다. 그들은 무예를 연마한답시고 산천경개 좋은 데로 창칼이나 활을 들고 다니면서 놀기에 열중하던 사람들이었다.

  바뀐 뜻 : 오늘날에는 하는 일없이 돈 잘 쓰고 놀러 다니기 좋아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보기글"
  -그 사람을 보니 한량이 따로 없더구만  젊은 사람이 일할 생각은 않고 물려받은 재산으로 놀기만 하니 말야
  -니가 무슨 한량이라고 그렇게 놀러 다니기만 하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43
3282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012
328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374
328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38
327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273
327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434
3277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928
3276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75
3275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41
327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457
3273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43
327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205
327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81
3270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78
326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468
326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04
3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72
326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042
3265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56
326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86
326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29
3262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90
3261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