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6.09.09 20:35

에요, 예요

조회 수 19815 추천 수 10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bbs.joins.com/content.asp?board_idx=3&page=32&tb_name=korean초등학생 자녀를 둔 독자의 전화를 받았다.

아이의 숙제를 돌봐주면서 '하나예요, 둘이에요'라고 쓰기에 ''하나예요'라 했으면 '둘이예요'로 써야지' 했더니 아이가'선생님은 '둘이에요'로 가르쳐 주셨는데'하는 바람에 아주 곤혹스러웠다는 하소연이었다.

이럴 땐 문법적 설명보다 실제 쓰이는 예를 들어보는 게 낫다.

(예1) 하나예요. 저예요. 나비예요.

(예2) 둘이에요. 당신이에요. 꽃이에요.

눈치 빠른 독자는 벌써 알아챘겠지만 '-예요'는 받침 없는 체언 뒤에, '-이에요'는 받침 있는 체언 뒤에 쓰인다. 그런데…

'그럼 '패랭이예요'는요?' '아, 그건 '패랭이 +예요'입니다.'

'저기, 한 가지만 더요, 그럼 '아니예요'는 '아니'가 받침이 없으니까 '-예요'가 붙어 '아니예요'가 되는 거죠?'

예리한 질문이다. 답변이 쉽지 않을 듯. 어쨌거나 정답은 '아니에요'.

위에서 설명했던 것과는 경우가 다르다. '둘이에요(둘+이+에요)'는 체언(둘)에 서술격조사 (이)와 어미(에요)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아니에요'는 형용사 '아니다'의 어간 '아니'에 어미'-에요'가 붙는 경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2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8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64
25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147
24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바람의종 2010.05.08 26779
23 본때없다, 본데없다, 본떼없다, 본대없다 바람의종 2010.10.18 27020
22 단추를 꿰다, 끼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10.05.31 27539
21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7796
20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836
19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7904
18 CCTV 윤안젤로 2013.05.13 27952
17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214
16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093
15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320
14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484
13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430
12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2826
11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186
10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790
9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7990
8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39730
7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658
6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7860
5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7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