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09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멀기’와 ‘싸다’

남녘의 어느 바닷가에서 혹시 쓰고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가 잘 모르는 말에 ‘물멀기’라는 말이 있다. 이는 북녘에서 자주 쓰는 말로 ‘큰 물결’이라는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화약에 누기가 차서 불이 달리지 않았던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총을 놓고 물가로 되돌아가 높아지는 물멀기를 근심스런 눈길로 바라보며 정호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정호는 돌아오지 않고 있었다.”(<김정호>, 강학태, 문예출판사, 1987년, 270쪽)와 같이 쓰이는 말이다.

북녘말에서는 ‘-답다’ 대신에 ‘-싸다’를 써서 예를 들면 ‘남자싸다’ 같은 말을 만들기도 한다. 문학작품에서는 “한번은 떡을 치다가 터쳐 버린 그의 작업복 겨드랑이를 자기가 말없이 기워 준 일이 있었는데 총각은 남모르는 따뜻한 마음을 이쪽에 안겨 주고 가버린 듯했다. 알고 보니 유호림은 남자싸게 건장한데다 일솜씨는 물론 성미까지도 산매처럼 걸패스러워 나무랄 데가 없는 사나이였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년, 4쪽)와 같이 쓰이고 있다. 이때 ‘걸패스럽다’의 경우 북녘 사전에 ‘걸패’만 보이는데 ‘걸싸고 기운찬 패거리’로 풀이되어 있다. ‘걸싸다’는 ‘성미가 몹시 괄괄하고 세차다’는 뜻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33
3018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3001
301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3001
3016 쥐뿔도 모른다 바람의종 2008.01.29 12999
3015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90
3014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987
3013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77
3012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972
301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971
3010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64
3009 마는, 만은 바람의종 2010.10.11 12961
3008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939
3007 섬뜩하다, 섬찟하다 바람의종 2010.11.11 12933
3006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931
3005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913
3004 밥힘, 밥심 바람의종 2010.03.02 12896
3003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9
3002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878
3001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66
3000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64
2999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859
2998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54
2997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