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6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앗다’와 ‘호함지다’

이제 겨울이 지나가고 있다. 이번 겨울에는 눈도 많이 오고 강추위가 계속되어 다른 해보다 좀 색다른 느낌을 가진 사람이 많을 것 같다. 농한기를 맞은 겨울 농촌에서 그 지방 고유의 음식을 마련하여 이웃과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방송에 자주 나온 것도 아마 유난히 춥고 긴 겨울 탓이 아니었나 싶다. 이때 나온 음식 가운데 하나가 두부와 묵이었다. 우리는 잘 쓰지 않지만 북녘에는 ‘앗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두부나 묵 같은 것을 만들다”의 뜻이다. 문맥에서 예를 들면 “뜻밖에도 김정숙 동지께서는 서도실이와 함께 콩물을 끓이고 계시였다. 어제밤 두부를 앗겠다고 콩을 불쿠시더니 어느새 망에 콩물을 낸 것이다.”(<그리운 조국 산천>, 박유학, 문예출판사, 1985년, 361쪽)와 같이 쓰인다. 남녘말은 ‘불리다’이고 북녘말은 ‘불구다’인데 ‘불쿠다’는 ‘불구다’의 센말이다.

‘호함지다’는 말은 “마음에 흐뭇할 만큼 탐스럽다”의 뜻이다. “앞날의 모든 일을 지금 당장 다는 예상할 수 없지만 큰 포부와 희망을 품고 북만땅을 떠나 여기 백두산 지구까지 일부러 찾아나오신 장군님께서는 백두산 밀영에서 맞게 되신 첫 아침에 푸지고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시던 순간부터 한량없이 마음이 밝고 명랑해지시였다.”(<압록강>,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3년, 41쪽)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5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557
3172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13
3171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25
3170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61
3169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99
3168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38
3167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888
3166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699
3165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24
3164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913
3163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7026
3162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830
3161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60
3160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29
3159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571
3158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37
3157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25
3156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46
3155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56
3154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49
3153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92
315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47
3151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