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08 19:22

독수리

조회 수 1104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독수리

“가락국기에, 수로왕 3년 완하국 함달왕의 아들 탈해가 가락국의 왕위를 뺏으려 가락에 오니 수로왕이 거절하고, 탈해와 도술로써 시합을 하는데 그가 매면 왕은 독수리가 되고 그가 참새가 되면 왕은 새매로 변신하므로 탈해가 항복하고 달아나니 왕이 수군 500척을 내어 신라 경계까지 내쫓았다.”(삼국유사에서)

독수리는 매보다 한 수 위다. 힘이 있는 이가 그렇지 못한 이를 앞서고 다스리게 된다. 이게 자연의 섭리이며 살아가는 모습이다. 어찌 보면 공평하지 않음이 대자연의 질서다. 얼핏 보기로 힘센 것이 반드시 강한 것만은 아니다. 낱개로 보면 메뚜기가 사자를 이길 수는 없다. 그러나 메뚜기 떼가 달려들면 잠자던 사자는 순간에 뼈만 앙상하게 남게 된다. 그렇다면 어느 쪽이 더 힘이 있는가를 한가지로 정의하기란 매우 어렵다.

독수리의 갈래로는 대머리독수리와 참수리, 검독수리와 흰꼬리수리, 흰목독수리와 흰죽지수리, 항라머리검독수리와 물수리가 있다. 날개를 폈을 때 약 1~3m에 이른다. 온몸이 어두운 갈색을 띠며, 뒷머리에는 엷은 암갈색의 부드럽고 긴 솜털이 있다.

독수리의 독은 대머리 독(禿)을 쓴다. 독수리의 생김새는 매나 수리와 비슷하고 뒷머리가 벗어지는 수가 많다. 한편 수리는 으뜸이란 뜻. 따라서 독수리란 ‘대머리 모양의 으뜸 새’다. 독수리가 되어 보고자 하는 열망이 우리의 영계를 날아다니고 있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40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449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92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133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158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912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77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102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851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356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325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621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612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405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907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73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740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1026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65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84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945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240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6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